"'미친 여자' 막말 왜 했냐"... 의협회장 "표현의 자유"

입력
2024.06.27 10:37
수정
2024.06.27 11:29
구독

임현택, 26일 국회 청문회 참고인 참석
강선우 "성폭행 의사 비판하자 막말"
"국민 겁박까지... 사과할 생각 없나"
임현택 "국민으로서 표현 자유 영역"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이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의 의료계 비상상황 관련 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이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의 의료계 비상상황 관련 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미친 여자" "십상시" 등 과격한 발언을 쏟아냈던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이 국회 청문회에서 '막말 논란'으로 도마에 올랐다. 막말에 대한 사과를 요구받자 임 회장은 "표현의 자유"를 들어 맞섰다.

"성폭행 의사 비판했더니 '미친 여자' 막말해"

26일 임 회장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료계 비상 상황에 관한 청문회에 참고인으로 참석했다. 강선우 의원은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과 질의응답을 하던 중 박 차관의 답변이 마무리되기 전에 임 회장을 호명했다. 이날 참고인 자리에 앉아 답변하던 임 회장은 강 의원의 요청에 따라 증인석으로 불려 나왔다.

강 의원은 임 회장에게 "저 기억하세요?"라고 물었다. 임 회장이 "네"라고 답하자 강 의원은 "제가 21대 국회에서 대변인으로 활동할 때 저한테 '미친 여자'라고 그러셨죠?"라고 따져 물었다. 이에 임 회장은 당황한 듯 웃음을 보이다가 "대답하라"는 강 의원의 요구에 "네"라고 답했다. 강 의원이 막말한 이유를 묻자 임 회장은 말끝을 흐리며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답했다.

강 의원은 "당시 제가 '수면내시경 받으러 온 여성 환자를 전신마취하고 수차례 성폭행한 의사가 평생 의사여야 하느냐'는 내용의 논평을 냈다"며 "의협이 해당 의사에게 내린 징계가 고작 회원 자격정지 2년이었다는 점을 비판했는데 제게 '미친 여자'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 회장을 향해 "관련해서 하실 말씀 있느냐"고 물으며 목소리를 높였다.

임 회장이 "그 부분은 되게 중요하다"며 해명을 하려 하자, 강 의원은 곧바로 "아니오. 저한테 '미친 여자'라고 한 것에 대해 하실 말씀 있느냐고요"라고 다시 물었다. 그제야 임 회장은 "유감으로 생각합니다"라고 답했다.

임현택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장에서 열린 의료계 비상상황 관련 청문회에서 위원장의 정회 선언에 퇴장하고 있다. 뉴스1

임현택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장에서 열린 의료계 비상상황 관련 청문회에서 위원장의 정회 선언에 퇴장하고 있다. 뉴스1


"국민들께 사과해야" VS "표현의 자유"

강 의원은 이 외에도 그간 논란이 된 임 회장의 막말을 나열했다. 그는 "(의사에게 유죄 판결을 한) 창원지법 판사에게 '이 여자 제정신입니까'라고 했다가 고발당했다"며 "조규홍 복지부 장관에게 '조규홍 말을 믿느니 김일성 말을 믿겠다'고 했고,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 안상훈 국민의힘 의원, 박민수 차관에게는 '십상시'(중국 후한 말기 어린 황제를 조종해 부패 정치를 한 환관 집단)라고 했다"고 지적했다. 또 "의협 집단 휴진에 동참하지 않는 대한아동병원협회에는 '멀쩡한 애 입원시키는 사람들'이라고 했다"고 덧붙였다.

막말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기도 했다. 강 의원은 "의료계 비상 상황 청문회인데 임 회장 막말 청문회를 진행해도 될 것 같다"고 비판했다. 특히 "'교도소행 무릅쓸 (만큼) 중요한 환자는 없다'거나 '구토 환자에게 어떤 약도 쓰지 말자'고 한 건 국민에 대한 겁박"이라며 "의료계의 목소리를 들어달라고 하기 전에 본인 언행으로 상처받았을 국민 여러분에게 사과해야 하지 않겠냐"고 물었다.

임 회장은 강 의원이 발언하는 동안 점차 언성을 높이더니 "(막말 논란은) 국민이 가진 헌법상 표현의 자유 영역에 들어간다고 생각한다"며 말을 마무리했다. 강 의원은 해당 발언에 허탈한 듯 웃으며 관련 질의를 끝냈다.

앞서 임 회장은 의사를 처벌하는 재판부, 휴진에 동참하지 않는 동료 의사 등을 수차례 원색적으로 비난해 논란이 됐다. 13일엔 대한아동병원협회에 대해 "전 세계에도 없는 '폐렴끼'란 병을 만든 사람들"이라며 "멀쩡한 애를 입원시키면 인센티브를 주기도 한다"고 비하했다. 11일에는 약물 오처방으로 의사가 유죄 판결을 받은 사례에 대해 "교도소에 갈 만큼 위험을 무릅쓸 중요한 환자는 없다"며 "(구토 증상 환자들에게) 모든 항구토제를 절대 쓰지 마시길 바란다"고 비꼬았다.

최은서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