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일만 가스전 첫 공식 논의 자리에 온 3개 대기업은

입력
2024.06.21 19:00
구독

포스코인터·SK E&S·GS에너지 등 국내 기업 참여
"국익 극대화 원칙…국내외 기업 투자 꼭 필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동해심해 가스전 개발전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동해심해 가스전 개발전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경북 포항시 영일만 심해 가스전 개발과 관련해 국내외 투자 유치와 법·제도 개선을 위한 논의에 들어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 대회의실에서 안덕근 장관 주재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전략회의'를 처음 열었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국익 극대화라는 원칙하에 국내외 투자유치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석유공사는 심해 개발·운영 경험이 부족하고 시추 1공당 1,000억 원 이상 소요되므로 국내외 기업 투자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대왕고래'를 비롯해 석유나 가스가 묻혀 있을 가능성이 있는 유망구조 시추에 있어 국내외로부터 적극적으로 투자를 받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1차 시추는 12월 예정으로,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어 석유·가스 매장을 확인하는 탐사 비용만 5,000억 원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는 사업 위험성을 고려하고 개발·운영에 필요한 기술력·재원 확보 및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서 국내외 기업 투자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날 회의에는 국내 민간 기업인 포스코인터내셔널, SK E&S, GS에너지 등 3사가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해양수산부, 외교부, 행정안전부 등 유관 부처 관계자와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등 산업부 산하 공기업 경영진도 함께했으며 대한지질학회, 자원공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자원경제학회 전문가들도 논의에 참여했다.

정부는 현재 석유공사가 잠정적으로 기본 계획을 마련한 만큼 향후 적정한 검토 절차를 거쳐 1차공 시추 위치 등 세부 사항을 확정할 계획이다. 현행 해저광물자원개발법 등 국내 법은 대규모 유전·가스전 개발에 적합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조광권을 '대왕고래' 등 유망구조 개발에 적합한 방식으로 나누고 조광료 부과 요율도 정부와 투자 수익 분배가 가능하게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행 제도상 정부가 개발 사업자에게 부과할 수 있는 조광료 부과 비율은 최대 12%에 그친다.

안 장관은 "동해 심해 가스전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높은 만큼 이제는 모두의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라며 "앞으로 각계와 적극 소통하면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나주예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