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트지오 결론 교차검증 전문가, 석유공사 동해탐사팀장 지도교수였다

입력
2024.06.14 21:00
수정
2024.06.14 21:14
구독

동해탐사팀장, 모릭 교수 아래서 박사후과정
모릭 교수, 아브레우 논문 공동 저자로 활동
"자문단 교차 검증 객관성 보장 안 돼" 지적

동해 심해 석유·가스 매장 분석을 담당한 미국 액트지오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과 관련한 질문에 답을 한 뒤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세종=연합뉴스

동해 심해 석유·가스 매장 분석을 담당한 미국 액트지오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과 관련한 질문에 답을 한 뒤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세종=연합뉴스


동해 심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에 대한 액트지오의 분석 결과를 교차검증한 해외 자문단의 '객관성'이 계속 도마에 오르고 있다. 해외 자문단에 속한 교수가 액트지오 고문의 논문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린 사실이 알려진 뒤, 해당 교수가 한국석유공사 동해탐사팀장의 지도교수인 점이 추가로 드러났다. 석유공사는 "심해 탐사 영역의 전문가가 협소한 탓"이라고 해명했다.

14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번 동해 심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검증 실무를 담당한 석유공사 동해탐사팀장 A씨는 해외 자문단 소속 데이비드 모릭 텍사스대 교수 아래에서 박사후과정을 밟았다. A씨는 2019년 5월에는 모릭 교수와 공동으로 논문을 쓰기도 했다. 또한 A씨는 모릭 교수와 함께 해외 자문단에서 활동한 같은 대학 코넬 올라이오 부교수와도 2016년 6월 공동으로 논문을 작성한 적도 있다. 모릭 교수는 앞서 아브레우 고문의 2003년 논문 공동저자라는 사실이 알려져 "액트지오 분석 결과에 대한 교차검증을 신뢰할 수 있냐"는 지적의 중심에 선 인물이기도 하다.

정치권에서는 비판의 강도를 끌어올렸다. 이날 더불어민주당은 "석유 게이트가 점입가경"이라며 의혹을 거듭 제기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카르텔 냄새가 나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는 "동해 가스전 탐사를 수행한 자,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한 자 그리고 이를 연결해 준 공사직원까지 사실상 한 몸통이었다"고 강조했다.

석유공사는 이에 대해 "모릭 교수가 A씨의 지도교수였던 것은 맞으나, 심해 분야 전문가풀이 매우 협소한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석유공사는 아브레우 고문과 모릭 교수의 논문 공저 사실에 대해서도 같은 이유를 들어 해외 자문단은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활동했다고 했다.

이상무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