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포리자 원전 마지막 원자로, 포격으로 또 단전

입력
2022.09.06 09:48
구독

젤렌스키 "방사능 참사 한 발짝 앞까지 몰려"
IAEA, 원전 시찰 결과 6일 유엔 안보리서 발표

지난 1일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전을 방문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에네르호다르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1일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전을 방문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에네르호다르 로이터=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에서 가동 중이던 마지막 원자로가 포격전 여파로 또다시 전력망에서 차단됐다. 개전 초기 러시아에 점령된 자포리자 원전 주변에선 최근 들어 포격전이 격화하면서 핵 재앙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자포리자 원전 운영사인 우크라이나 원전회사 에네르고아톰은 이날 성명에서 “원자로 6호기가 우크라이나 전력망에서 분리·차단됐다”며 “포격으로 인한 화재가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도 “우크라이나 당국이 화재 진압을 위해 전력선을 차단하겠다고 통보해 왔다”고 전했다. 이어 “전력선 자체는 손상되지 않았고 화재만 진압되면 원자로 전력망이 복구될 예정이라고 우크라이나 측이 전해 왔다”고 덧붙였다.

원자로 6호기는 자포리자 원전 단지의 6기 가운데 마지막까지 운영이 계속되던 원전이다. 에네르고아톰은 전쟁 발발 후 사고 위험 등을 이유로 원자로 운영을 축소해 왔다. 지난 3일에도 포격 등을 이유로 원자로 5호기가 전력망에서 차단됐다.

AP통신은 “현재 6호 원자로는 발전 단지 자체의 안전을 확보하고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전력만 생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원전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핵분열로 가열되는 원자로를 냉각하는 시스템이 마비돼 ‘원자로 노심용융’(멜트다운)이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 한 원자력 전문가는 “원자로가 자체 필요 전력만 생산하는 ‘섬 모드’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섬 모드는 원자로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에는 매우 불안정하다”고 우려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번 사고 원인은 러시아의 도발 행위”라면서 “자포리자 원전이 또다시 방사능 참사 한 발짝 앞에 몰렸다”고 러시아를 비판했다. 헤르만 할루셴코 우크라이나 에너지장관도 “러시아가 자포리자 원전 점령을 풀고 원전 주변에 비무장지대를 설정해야만 원자력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자포리자 원전의 안전 상태를 사찰한 IAEA는 6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IAEA 사찰단 14명 가운데 12명은 일정을 마치고 복귀했고, 2명은 현지에 상주하며 원전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

김표향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