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독일 교회가 세속권력에 취약했던 배경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이어서)유럽 교회, 특히 루터 종교개혁의 진원지로 바티칸 교황청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덜 미친 독일 제후국 교회들은 사실 국가 권력(왕과 제후)의 그늘 안에서 국가 지원을 받으며 성장했다. 당시 시민들의 종교는 국왕 등 세속 정치 권력자의 종교에 따라 결정됐고, 그게 못마땅한 이들은 ‘아우크스부르크 화의’에 따라 재산을 처분해 이주할 권리를 지녔다.
1차대전 이후 출범한 바이마르 공화국은 근대적 원칙인 정치-교회 분리를 강력 추진했다. 교회에 대한 국가 지원금을 줄였고 교회가 부당하게 전유하던 토지 등 재산을 국유화했다. 학교의 종교 교육과 기도도 금지했다. 하지만 바이마르 공화국은 약했다. 개신교는 물론이고 가톨릭까지 가세한 거센 반발로 종교개혁은 유야무야됐다. 교회는 공공 서비스(의료, 교육 등)를 명목으로 국가 지원금을 되찾았고 정부는 교회세를 걷어 교회 지원 비용을 충당했다.
그런 국면에서 발표된 나치의 방침 즉 국가가 교회를 적극적으로 챙기겠다는 선전은 교회, 특히 개신교회에겐 무척 매력적이었다. 절대다수의 교회가 33년 3월 선거에서 나치를 공개 지지했다. 그게 제국 교회의 밑천이었다.
반면 가톨릭 교회는, 나치에 부역한 사제들이 없진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나치를 경계했다. 구약성경을 배제하려는 방침에 공식적으로 반발했고, 유대인 차별-배제에도 대체로 굴복하지 않았다. 29년 무솔리니의 이탈리아 정부와 라테란 조약을 체결해 교황청의 독립성을 보장받은 교황 비오 11세는 독일 내 가톨릭 교인 보호를 위해 1933년 나치와 협정을 맺었지만, 그는 37년 3월 회칙을 통해 “의심과 불화 (…) 교회 내부의 적대감을 조장”하는 나치 이념을 비판했다. 나치 권력이 굳건해진 뒤 수많은 성직자들이 수용소에서 희생되자 후임 교황 비오 12세도 나치의 폴란드 침공과 홀로코스트를 지속적으로 비난했다. 다만 그는 나치를 명시적으로 비판하지 않아 훗날 비판 받았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