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회의서 3국 정상 “한반도의 평화·안정이 3국 공동이익”

입력
2024.05.27 12:56
수정
2024.05.27 14:42
구독

윤석열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왼쪽) 일본 총리, 리창 중국 총리가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왼쪽) 일본 총리, 리창 중국 총리가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한중일 3국 정상은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갖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유지가 3국 공동의 이익이라는 점에 의견을 함께했다. 3국 정상은 이런 인식을 토대로 북한의 비핵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공동선언문에 적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대통령은 ‘한중일 정상회의 한중일 공동기자회견’에서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3국 공동의 이익이자 책임임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한일중 3국 공통의 핵심이익인 역내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목표 아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이 오늘 예고한 소위 위성발사는 명백한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국제사회가 단호히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안정이 일중한 우리 3국에 공동의 이익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또한 납치 문제의 즉시 해결을 위해 양 정상께서 계속 지원해 주실 것을 요청드렸고, 양 정상께서 이해를 표명해 주셨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에 관해 저는 세계 어디서든 힘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 시도는 결코 용납될 수 없다는 말씀을 드린 후 일본의 입장을 설명드렸다”고 소개했다.

리창 중국 총리는 정상회의 모두발언에 이어 공동기자회견에서도 북한을 직접 거론하진 않았다. 리 총리는 “중국은 시종일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추진하는 데 유지하고,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인 해결을 추진하고 있다”며 “관련 측은 자제를 유지하고, 사태가 더 악화하고 복잡해지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를 토대로 3국은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안정·번영이 공동이익이자 공동책임이라는 점을 적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빈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