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한중일 공동선언에 '산업망 협력 강화' 포함 두고 신경전"

입력
2024.05.29 15:30
구독

"중국 강하게 주장, 일본 반대로 안 담겨"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청와대 영빈관에서 한중일 정상회의를 앞두고 리창(오른쪽) 중국 총리, 기시다 후미오(왼쪽) 일본 총리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청와대 영빈관에서 한중일 정상회의를 앞두고 리창(오른쪽) 중국 총리, 기시다 후미오(왼쪽) 일본 총리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중국이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선언문 조율 과정에서 공급망에 더해 '산업망 협력' 내용을 포함하자고 주장했지만, 일본의 반대로 들어가지 않았다고 29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27일 서울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공동선언문에 산업망 협력 강화도 같이 명기하자고 강하게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은 "중국 기업의 해외 전개를 허용해 과잉생산으로 연결된다"며 중국의 요구를 거부했다.

일본이 거부한 것은 산업망이란 표현에 중국 측이 세계시장에서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담겼다고 봐서다. 중국이 사용하는 산업망이라는 단어는 제조업 원료·소재에서 완성품 제조까지 중국 기업만으로 완결한다는 의미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기차(EV)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 산업망을 통해 대중국 의존도를 높이려는 전략이 깔렸다고 본 것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공급망과 산업망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거듭 드러낸 바 있다. 무엇보다 EV와 인공지능(AI) 등 미래 주요 산업 분야에서 산업망 강화를 목표로 한다.

일본 측은 대신 공급망과 관련해 중국의 희토류 등 수출 규제를 염두에 두고 '혼란의 회피'라는 표현을 사용하자고 요구했고, 실제 공동선언문에 담겼다.

중국은 이번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도 '산업망과 공급망의 안정'을 강조했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지난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의 양자회담에서 세계의 '경제 안보화' 흐름을 지적하며 "경제·무역 문제의 과도한 정치화와 안보화를 반대하고, 양국과 세계의 산업망·공급망 안정과 원활한 흐름을 수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쿄= 류호 특파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