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러시아에 무기 부품 제공한 중국 기업에도 제재”...중국 정부 '발끈'

입력
2023.05.09 00:15

FT "11차 제재안에 '제3국 기업 제재' 포함된 듯"
EU, 전쟁 후 첫 중국 겨냥...기존 제재 위반에 초점

지난 3월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본부 건물 앞에서 EU 깃발이 휘날리고 있다. 브뤼셀=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3월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본부 건물 앞에서 EU 깃발이 휘날리고 있다. 브뤼셀=로이터 연합뉴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러시아에 전쟁 물자를 지원한 중국 기업에 대해서도 제재를 추진한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해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중국이 러시아에 무기를 직접 제공한 증거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던 EU가 처음으로 입장을 바꾼 것이다.

FT에 따르면, EU 집행위 11차 제재안 초안에는 중국 소재 기업 최소 7곳에 대해 핵심 기술 수출을 금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3HC 반도체, 킹 파이 테크놀로지 등 중국 본토 기업 2곳과, 신노 일렉트로닉스, 시그나 테크놀로지, 아시아퍼시픽링크, 토단 인더스트리, 알파 트레이딩 인베스트먼트 등 홍콩 기업 5곳이 제재 대상 기업에 해당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중 킹 파이는 러시아 순항미사일의 유도 시스템용 방위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초소형 전자 기술을 제공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 EU는 홍콩의 신노 일렉트로닉스가 러시아 군수기업 ‘라디오아브토마티카’에 부품을 납품해 왔다고 보고 제재 대상에 포함시켰다.

집행위는 초안 제안서에 “러시아군과 산업단지에서 쓰이는 부품들은 전쟁 지속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며 “군수용 전자부품의 개발·생산·공급에 관여한 러시아 단체뿐 아니라 무역제재 회피에 관여한 제3 국 단체도 제재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고 명시했다고 FT는 전했다. 검토를 앞둔 초안은 제재 동참을 위한 외교적 압력이 통하지 않은 제3국에 대해 특정 제품의 판매를 금지하는 내용이 골자다.

중국 외 다른 나라 기업들도 제재 대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아랍에미리트(UAE)와, 군사용 드론을 생산해 러시아에 공급하는 이란 업체들도 제재 목록에 들어갈 갈 것으로 거론된다.

이날 에릭 마메르 EU 집행위 대변인은 ‘제3 국 기업을 제재하는 새로운 방안도 (11차 제재안) 초안에 포함되나’는 질문에 “기존 제재의 이행 및 위반 여부에 초점을 둔다. 대러 수출 부분을 들여다볼 것”이라고 답했다. 세부사항은 언급하지 않았지만, 제3국 제재도 추진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단, 이 기업들에 대한 제재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 EU 회원국의 만장일치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FT 보도를 접한 중국 정부는 제재가 현실화될 경우 보복성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중국과 유럽의 상호 신뢰를 훼손하고 세계의 분열을 심화시키는 행위”라며 “유럽이 잘못된 일로 갈 경우 중국은 권익을 확고히 수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유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