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푸틴이 전쟁 명분을 '나치 척결'에서 '테러 대응'으로 바꾼 까닭은

입력
2022.10.28 04:30
구독

전쟁 초기엔 '우크라 탈나치화' 주장
우크라에 테러 국가 이미지 덧씌워
국민 선동해 참전 유도하려는 전략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6일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독립국가연합(CIS) 정보기관장들과의 화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모스크바=UPI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6일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독립국가연합(CIS) 정보기관장들과의 화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모스크바=UPI 연합뉴스

“크림대교 폭발은 우크라이나의 테러 행위이다."(10월 9일)

“(우크라이나) 테러리스트의 위협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해야 한다."(10월 26일)

이달 들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테러'를 자주 입에 올렸다. 왜일까.

올해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푸틴이 내세운 명분은 나치즘에 오염된 우크라이나의 '탈(脫)나치화'였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26일(현지시간) 러시아가 전략을 바꿔 우크라이나에 ‘테러 국가’ 이미지를 덧씌우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8개월 만에 전략을 바꾼 것은 러시아 국민을 선동하고 러시아의 잔혹한 공격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러시아가 '테러'로 프레임을 바꾼 건 이달 8일 크림대교 폭발 사고 이후다. 19일에는 우크라이나 4개 지역에 계엄령을 선포하며 “우크라이나가 ‘테러 수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최근에는 “우크라이나가 더티 밤(dirty bomb·방사성 물질이 든 재래식 폭탄) 테러 공격을 계획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26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북동쪽으로 250㎞ 떨어진 야로슬라블의 한 군 사격장에서 동원된 예비군들이 전투 훈련을 하고 있다. 야로슬라블=타스 연합뉴스

26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북동쪽으로 250㎞ 떨어진 야로슬라블의 한 군 사격장에서 동원된 예비군들이 전투 훈련을 하고 있다. 야로슬라블=타스 연합뉴스

서방 전문가들은 그 이유를 프로파간다(선전선동)에서 찾고 있다. 러시아군은 병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국민의 자발적 참전을 유도하기 위해선 '다른 나라의 나치 교화를 위해 싸우자'는 구호보다 '내 나라, 내 가족이 테러 공격을 받을 수 있다'는 위협이 효과적이라고 봤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를 테러 국가로 몰아가면 전쟁을 일으킨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도 유리하다.

각국 정부·기업의 거짓 정보 대응을 돕는 기술벤처기업 ‘로지컬리’의 카일 월터 연구원은 “러시아가 전쟁 화두를 대테러작전’으로 정한 것으로 보인다”며 “'우크라이나는 테러 국가'라는 주장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방에서는 이 같은 전략 변화가 푸틴 대통령의 절망과 어려움을 보여준다고 평가절하한다. 그러나 러시아에서는 ‘우크라이나의 더티 밤 테러설’을 믿는 시민이 늘어나는 등 정부 술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러시아 여론조사기관 필터랩스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상에서 최근 우크라이나 핵 테러에 대한 논의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허경주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