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르포] 사람 떠나 빛 꺼지고, 끔찍한 잿더미만... LA 산불, 도시의 활기 앗아갔다

입력
2025.01.13 23:00
수정
2025.01.13 23:05
15면
구독

공항에서도 '타는 냄새' 코 찔러... 화재 실감
산불 엿새째... "최소 24명 사망, 16명 실종"
진압률은 팰리세이즈 13%, 이튼 27% 그쳐
14, 15일 건조 돌풍 예보돼 악화 가능성도

1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패서디나에 위치한 유대교 회당이 철근만 앙상하게 남은 채 무너져 있다. 이 회당은 100년 넘게 이곳을 지켜왔으나 지난 7일 발생한 이튼 산불로 소실됐다. 로스앤젤레스=이서희 특파원

1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패서디나에 위치한 유대교 회당이 철근만 앙상하게 남은 채 무너져 있다. 이 회당은 100년 넘게 이곳을 지켜왔으나 지난 7일 발생한 이튼 산불로 소실됐다. 로스앤젤레스=이서희 특파원

12일 밤 10시쯤(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로스앤젤레스(LA) 할리우드 인근의 버뱅크공항. 이곳을 빠져나가자 도시의 활력이 느껴지려던 찰나, 무언가 타는 냄새가 코를 찔렀다. LA 일대를 집어삼킨 산불이 진행 중인 곳들과는 수십 ㎞씩 떨어진 곳이라 불길이나 그 흔적을 볼 수는 없었으나, 산불은 그렇게 냄새로 존재를 확인시켰다. 대도시의 활기는 순식간에 사라졌다.

곧장 차를 타고 서쪽으로 30㎞ 정도 떨어진 패서디나로 향했다. 이날 진압률 27%에 불과했던 이튼 산불의 진앙지로 알려진 곳이다. 동네 초입까지만 해도 불 켜진 집과 가게가 많았지만, 오르막길을 걸을수록 빛이 꺼져갔다. 대피가 권고됐으나 강제되지는 않았음에도 모든 사람이 이미 집을 비운 듯했다. 도로에는 버려진 차들과 강풍에 쓰러진 나무들만 널브러져 있었다.

1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패서디나의 한 간호센터가 불에 타 버려 형체만 덩그러니 남아 있다. 로스앤젤레스=이서희 특파원

1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패서디나의 한 간호센터가 불에 타 버려 형체만 덩그러니 남아 있다. 로스앤젤레스=이서희 특파원

"사람도, 건물도 모두 떠났다... 슬픈 현실"

산지와 가까워지자 화마(火魔)가 휩쓸고 간 흔적이 보였다. 지난주만 해도 누군가에겐 삶의 터전이었을 건물들은 대부분 뼈대만 남은 채 검게 그을려 있었다. 1920년대에 완공돼 100년 이상 역사를 갖고 있던 패서디나 유대교 회당은 건물 전체가 처참히 무너져 내려 일부 철근만 앙상하게 남아 있었다. ‘당분간 문을 닫는다’는 공고문이 굳게 닫힌 철문에 붙어 있지 않았더라면 이곳에 회당이 있었는지도 알아채기 힘들 듯했다.

인근 간호 센터는 그나마 건물 형체를 간신히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건물 안의 모든 것은 재로 변해 있었다. 소방관들의 사투에도 엿새째 꺼지지 않고 있는 이튼 산불이 남긴 끔찍한 흔적이었다.

잿더미가 된 동네를 돌아다니는 기자가 의심스러웠는지 순찰 중이던 경찰관이 다가와 신원 확인을 요청했다. 꼼꼼히 체크한 그는 “위험하니 빨리 가는 게 좋겠다”며 이동을 보챘다. 그러면서 “사람도, 건물도 모두 떠났다(All gone)”며 “슬픈 현실”이라고 말했다. 인사를 하고 가려는 기자를 멈춰 세우더니 그는 다시 말했다. “조심하세요. 그리고 우리를 위해 기도해 주세요.”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덮친 로스앤젤레스 산불의 하나인 '이튼 산불'로 소실돼 버린 로스앤젤레스 패서디나 지역 유대교 회당(위 사진). 아래 사진은 화재 이전 모습이다. 로스앤젤레스=이서희 특파원·구글 스트리트뷰 캡처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덮친 로스앤젤레스 산불의 하나인 '이튼 산불'로 소실돼 버린 로스앤젤레스 패서디나 지역 유대교 회당(위 사진). 아래 사진은 화재 이전 모습이다. 로스앤젤레스=이서희 특파원·구글 스트리트뷰 캡처

'악마의 바람' 다시 맹위... 유독성 연기도 확산

LA 소방당국이 지난 7일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의 불길을 잡고 있으나, 12일에도 진압 속도는 여전히 더디고 피해는 계속 늘고 있다. 게다가 산불 확산 원인이 됐던 ‘악마의 바람’ 샌타애나는 이번 주 다시 맹위를 떨칠 것으로 예보됐다. 산불로 집을 잃은 서민은 당장 잘 곳부터 걱정인 반면, 부유층은 사설 소방대를 고용하는 등 화재 대응의 빈부격차도 커지고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이번 LA 산불의 사망자는 최소 24명, 실종자는 16명에 달한다. 아직 산불이 진행 중임을 감안하면, 희생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13일 오전 기준 팰리세이즈 화재 진압률은 13%, 이튼 화재는 27%에 그쳐 있다. 산불 피해 면적은 153.32㎢로, 서울 면적의 4분의 1 혹은 경기 안산시 전체가 불에 탄 수준이다.

산불 여파는 이제 LA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화재에 따른 연기와 유독성 물질 때문이다. 토머스 아라곤 LA 공공보건국장은 미국 CNN방송에 “화재 연기에 포함된 미세 유해 입자들이 폐 깊숙이 침투하면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며 “화재 장소 근처에 있다면 반드시 의료용 마스크를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연기는 수백 km가량 이동할 수 있으니 탄 냄새가 나지 않더라도 공기 질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한 소방대원이 12닐 팰리세이즈 산불 현장에서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한 소방대원이 12닐 팰리세이즈 산불 현장에서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로이터 연합뉴스

빈부 격차에 '화재 대응' 양극화도 뚜렷

건조한 돌풍인 ‘샌타애나’가 14일부터 다시 부는 것도 문제다. 미국 국립기상청은 샌타애나가 15일까지 지속될 것이라며 “최고 풍속은 시속 100km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12일에는 돌풍이 잦아들어 소방대원의 진화 작업이 가능했지만, 샌타애나가 다시 불기 시작하면 사정이 달라진다. 산불 발생일인 7일, LA 소방 당국은 샌타애나 때문에 한동안 손을 쓰지 못했고 한동안 ‘진압률 0%’라는 속수무책 상황이 이어졌다.

산불이 잦아들지 않으면서 소득 수준에 따른 ‘화재 대처법 양극화’도 뚜렷해지고 있다. 서민들은 당장 살 곳을 걱정하는데, 부유층은 하루 1,000만 원 넘는 돈을 주고 사설 소방대를 고용하고 있다. AP통신은 “민간 소방대를 동원하려는 부유층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 부자들은 재산을 지키기 위해 지출을 꺼리지 않는 모습이다. 지난 7일 부동산 투자 회사 설립자인 키스 와서먼은 집 근처로 불길이 번지자 엑스(X)에 “지금 당장 올 수 있는 민간 소방대를 찾는다. 금액은 얼마든지 지불하겠다”는 글을 올렸다. NYT는 “2인 민간 소방대원과 작은 차량을 이용하면 하루에 3,000달러(약 440만 원), 소방대원 20명·소방차 4대로 구성된 팀을 고용할 땐 1일 비용이 1만 달러(약 1,470만 원)”라고 전했다.

반대로 서민들은 당장 지낼 곳을 걱정하는 처지다. 대학생 서맨사 산토로는 AP에 “우리에겐 ‘두 번째 집으로 가서 지내자’라는 선택지가 없다”며 “부모님이 일군 모든 걸 잃었다”고 말했다. 사진작가로 일하는 다니엘라 도슨도 “월세집이 불에 타 그 안에 있던 고가 장비가 모두 망가졌다”며 “임차인 보험도 없어 보상받을 길이 없다”고 한탄했다.

로스앤젤레스= 이서희 특파원
박지영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