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트럼프, 시리아에서 미군 철수시킬까?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지구촌 곳곳의 다양한 ‘알쓸신잡’ 정보를 각 대륙 전문가들이 전달한다.
지난해 12월 8일, 반군이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를 점령하며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이 축출된 것은 누구도 쉽사리 예측하지 못한 뜻밖의 사건이었다. 아사드 정권 붕괴 직후, 트럼프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미국은 시리아 정세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비개입 기조를 시사했다. 하지만, 중동에서 시리아가 갖는 지정학적 중요성에 비춰볼 때 워싱턴이 그냥 수수방관할 수 없는 상황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가운데 주요 관심사로 떠오른 것은 트럼프 2.0 정부가 약 2,000명에 달하는 시리아 주둔 미군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에 관한 것이다. 시리아에 배치된 미군은 장기화된 내전의 과정에서 주로 세 가지 임무를 수행해 왔다. △레바논 헤즈볼라와 교류하는 이란의 시리아 영토 통과 봉쇄 △반군 점령지 유전지대에 대한 아사드 정권의 접근 차단 △튀르키예의 쿠르드 주축 시리아민주군(SDF)을 향한 공격 억지이다.
따라서 트럼프의 섣부른 시리아 철군은 그간 수행해 왔던 미군의 공백 발생으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바이든 정부의 아프가니스탄 철군이 탈레반의 카불 장악으로 이어진 선례를 상기하면, 미군은 보다 정교한 정책적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우선, 철군 이후 심화될 가능성이 높은 튀르키예와 쿠르드 자치정부 간의 분쟁을 어떻게 막을 것인지가 문제이다. 현재 시리아 북부의 티슈린 댐을 중심으로 쿠르드군과 튀르키예 지원 무장 세력 간 충돌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따라서, 워싱턴은 샴해방기구(하이아트 타흐리르 앗샴, HTS)의 수장 아흐마드 알-샤라가 이끄는 지도부가 쿠르드의 안위를 지키는 방안 등 다양한 옵션을 검토하고 있다.
러시아와 이란의 영향력이 되살아날 우려도 있다. 아사드 정권의 붕괴는 러시아에 막대한 전략적 손실을 입혔다. 하지만, 러시아는 모스크바 주재 시리아 대사관에 반군 깃발 게양을 허용하고, 새로운 시리아 정부와 물밑 접촉을 이어가며 시리아에 대한 영향력을 되살리려 하고 있다. 이란 역시 아사드의 몰락으로 당황했지만, 영향력을 재행사하기 위한 발판 마련에 고심한다.
이외에도 트럼프 정부는 동맹국들과 협력하에 아사드 퇴진 이후 시리아의 안정적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고, 새로운 시리아 정부와의 관계를 설정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여러 측면에서 트럼프 2.0 정부의 대(對) 시리아 정책을 주시할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시점이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