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중립 외교' 앞세워 공장 유치? 관세도 '차이나+1' 취급?… 고민 깊어지는 동남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동남아시아 각국도 이해득실을 빠르게 계산하고 있다. 상당수 국가가 중립외교를 표방하는 만큼 탈(脫)중국에 나선 글로벌 생산 시설을 자국으로 유치할 기회라 보는 관점도 있다. 그러나 중국 기업이 대거 몰려 '원산지 세탁'에 나서면서 자칫 공급망뿐만 아니라 관세도 ‘중국 플러스 원(차이나+1)’ 취급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7일 동남아 각국 매체를 종합하면 트럼프 당선자의 재집권으로 동남아가 어부지리를 얻을 수 있다는 희망 섞인 관측이 나오고 있다. 피차이 나립타판 태국 상무부 장관은 전날 블룸버그통신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승리는 태국에 이로울 것”이라며 “태국은 글로벌 지정학에서 중립적이고 우호적인 플레이어이기 때문에 (미중) 무역 전쟁이 계속되면 더 많은 투자가 쇄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자가 중국산 수입품에 60%의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해 온 만큼, 중국에 생산 시설을 둔 기업들이 동남아로 이전해 이득을 취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 ‘트럼프 1기’ 당시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은 미중 패권 경쟁 속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을 타고 최대 수혜국으로 떠올랐다. 태국 정부는 자국으로 생산 시설을 옮기는 글로벌 기업에 인센티브 등 ‘당근’을 제공하는 방안도 고민 중이다.
강대국 한쪽에 치우치지 않아 상대적으로 신냉전 파고에 휩쓸릴 부담이 적다는 점도 동남아의 이점으로 꼽힌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10개국 중 친미 성향 필리핀, 친중 성향 캄보디아와 라오스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국가는 대체로 미중 사이 실리를 취하는 균형 외교를 지향한다.
반면 동남아도 트럼프 당선자의 보호무역주의와 강대국 간 무역 갈등 불똥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까닭에 득보다 실이 많다는 지적도 비등하다.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매체는 자국의 대미 무역 흑자 규모가 커진 만큼 관세 측면에서 미국의 견제가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기업들의 ‘원산지 세탁’이 잇따를 경우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싱가포르 공영 CNA방송은 “중국 기업이 미국의 어마어마한 대중국 관세를 피해 동남아로 생산지를 옮기면서 동남아 워싱(세탁)에 대한 (미 정부의) 감시가 커지고, 결국 공급망이 아닌 관세 분야에서 ‘차이나+1’로 여겨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동남아의 경우 반도체나 전자 분야 중국 의존도가 높은 만큼 미국이 중국 기업에 제재를 가하면 아세안 전반 공급망이 붕괴될 수 있다는 분석(동남아 전문 매체 아세안 브리핑)도 이어졌다.
장기적으로는 ‘성장하는 지역’ 동남아의 경제 성장세가 꺾일 것이라는 암울한 관측도 나왔다. 미국 외교전문지 더디플로맷은 “트럼프 당선자의 관세 전략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을 꾀하는 동남아 각국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의 경제 성장을 마비시키거나 둔화시킬 수 있다”고 평가했다.
앞서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트럼프 당선자 집권으로 미국 보호무역주의가 강화하면서 2028년 베트남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 이상 감소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