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수학 문제 어떻게 틀렸는지 공유하세요" 중학교 교실에서 벌어진 일

입력
2024.10.26 12:00
10면
구독

[책과 세상]
조 볼러 '수학 머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치르고 있는 고3 학생들 모습. 뉴스1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치르고 있는 고3 학생들 모습. 뉴스1

퀴즈 하나. 가로, 세로 각 8칸인 바둑판에 정사각형은 몇 개일까. 칸 수대로 8X8을 해서 64개라고 생각했다면 오답이다. 알 듯 모를 듯하다면 가로, 세로 두 칸짜리 바둑판을 종이에 그려 보자. 바둑판 안과 밖 총 5개의 정사각형이 있다는 게 보일 것이다. 이처럼 어려운 문제를 만났을 땐 그림을 그리거나 작은 사례로 먼저 접근하면 문제 풀기가 쉬워진다.

책 '수학 머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는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수학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지를 폭넓게 다룬다. 수학 교육 연구를 30년 넘게 한 조 볼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수학을 어렵게 만드는 교육 현실과 "수학 잘하는 머리는 따로 있다"는 왜곡된 선입견, 학생들의 나쁜 공부 습관 등을 뇌과학 연구 결과 등을 통해 조목조목 비판하며 썼다.

조 볼러 지음·고현석 옮김·기획·웅진지식하우스 발행·368쪽·1만9,800원

조 볼러 지음·고현석 옮김·기획·웅진지식하우스 발행·368쪽·1만9,800원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AI) 기술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면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해석하는 수학적 사고는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책은 세상의 변화에 따라 수학을 대하는 방식부터 바꿔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 방책으로 자신의 수학적 사고를 되돌아볼 수 있는 메타인지 학습 환경을 만드는 것을 제시했다. 추천 사례는 이랬다. 일본의 한 중학교에서 수학 교사는 지형이 고르지 않은 땅을 직선을 활용해 반으로 나누는 과제를 팀별 토론 수업에서 냈다. 답이 틀리면 그 풀이 과정을 반 전체에 공유하는 조건을 달았다. 남의 풀이 실수를 통해 자신의 풀이 과정을 점검할 수 있게 하려는 게 수업의 목적이었다.

한국 교실의 현실은 어떨까. 수학 포기를 자책하는 '수포자'들이 속출하는 상황에서 교육 당국과 교사들, 학생들이 함께 생각할 거리를 주는 책이다.

양승준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