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쓰러져 의식 잃은 아버지의 연명의료 중단은 '살인'일까

입력
2024.07.16 18:00
22면
구독

문학동네 2024 여름호, 이서수 '잘지내고있어'

편집자주

단편소설은 한국 문학의 최전선입니다. 하지만 책으로 묶여나오기 전까지 널리 읽히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한국일보는 '이 단편소설 아시나요?(이단아)' 코너를 통해 흥미로운 단편소설을 소개해드립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몇 년 전, 자궁에 종양이 생긴 어머니의 수술 보호자로 병원에 갔다. 수술이라기보다는 시술에 가까운 처치였지만, 어둡고 서늘한 병원 복도의 분위기는 어머니에게 어떤 결심을 하게 한 모양이었다. "혹시 내가 위험해지더라도 연명의료는 하지 말아라"라는 갑작스러운 말에 어머니의 등을 쓸어주며 대답했다. "그래도 끝까지 해 봐야지." 효심을 담은 답에 어머니는 만족한 듯 보였지만 "자식들에게 짐이 되고 싶지 않다"고 결심하듯 덧붙였다. 나를 낳고 기른 그의 목숨이 언젠가 내 손에 쥐어졌을 때, 이 순간을 떠올리게 될지도 모른다는 예감이 들었지만 외면하고만 싶었다.

문학동네 2024 여름호에 실린 소설가 이서수의 단편소설 '잘지내고있어'에 등장하는 '주연'과 '세연' 자매는 한 번쯤 상상해 봤던 이런 기로에 놓여 있다. 자매의 아버지는 식당에서 일하다 쓰러져 곧 기관 절개 시술을 하지 않으면 당장 돌아가실지도 모르는 처지다. 아버지의 동생이자 자매의 고모는 20년 만에 주연에게 연락해 대뜸 "동의서에 서명 말라"고 말한다. 고모는 4년 전 뇌경색으로 쓰러진 고모부가 내내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못하다 지난해 저세상으로 갔다면서 "오빠도 자식한테 그런 짐 지우는 거 반대할 거야. 아빠 편하게 보내드리자"고 주연을 설득한다.

자매의 삼촌도 세연에게 전화를 걸어 "아버지를 붙잡고 있지 말고 되도록 빨리 보내 줘라, 그게 아버지를 위하는 거"라고 말한다. 사업에 연이어 실패한 아버지와 그런 아버지와 이혼한 어머니의 노후에 대한 걱정이 가뜩이나 자매의 미래를 어둡게 만들던 상황이었다. 마찬가지로 형편이 넉넉하지 않은 고모와 삼촌이 "힘든 얘기를 먼저 꺼내서 마음의 짐을 덜어주는 어른 역할"을 하려고 한다고 여기면서도 주연은 그 '잔인한 호의'를 받아들일지 말지를 결정하는 건 오롯이 자매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이서수 소설가. ©김서해

이서수 소설가. ©김서해

자매의 고민이 계속되는 사이 병원에서 당장 10분 내로 기관 절개 여부를 정해야 한다는 연락이 온다. "이렇게 중요한 대화를 왜 아버지와 미리 나누지 않았"는지를 자매는 후회하지만, 현실은 이미 눈앞에 와 있다. 연명의료 중단이 "부인하더라도 이것은 살인일 수밖에 없지 않나"라고 곱씹는 주연에게 세연은 "언니, 이건 살인이 아니라 현실이야"라고 쏘아붙인다. 예상을 뛰어넘는 수술비와 병원비, 또 간병비까지. 천륜이라는 부모와 자식 간의 사랑은 이제 "눈에 빤히 보였고, 금액으로 쉽게 환산될 수 있"는 무엇이다.

한국에서 임종 과정에서 연명의료를 중단할 수 있도록 한 '연명의료 결정법' 시행이 올해로 6년이 됐다. 그러나 여전히 절반 이상(57.9%·2022년 기준)의 죽음이 본인이 아닌 가족을 비롯한 타인에 의해 형태가 결정된다. 의식을 잃기 전, 아버지가 주연에게 마지막으로 보낸 문자 메시지는 소설의 제목이기도 한 '─잘지내고있어'다. 항상 띄어쓰기와 문장부호를 생략하던 아버지의 '잘 지내고 있어?'라는 질문이었지만, 이제는 두 가지 의미로 읽힌다. "내가 없는 동안 잘 지내고 있어." "(영원히)내가 없더라도 잘 지내고 있어." 이를 결정하는 주체가 누구여야 하는지, 소설은 묻는다.

전혼잎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