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동아시아권에서 조상 숭배 가장 낮은 나라, 한국

입력
2024.07.10 04:30
25면

편집자주

초연결시대입니다. 글로벌 분업, 기후변화 대응, 빈곤퇴치 등에서 국적을 넘어선 세계시민의 연대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같은 시대, 같은 행성에 공존하는 대륙과 바다 건너편 시민들의 민심을 전합니다.

아시아 국가 가족묘 보유 현황.

아시아 국가 가족묘 보유 현황.

고인이 된 조상을 추모하고 기리는 문화가 발달한 동아시아에서도 조상숭배의 정도가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은 유교 문화권인데도, 해당 의식이나 제례의 정도가 가장 낮은 쪽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미국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에 따르면, 일본 성인의 85%가 “가족 묘지가 있다”고 했고, 79%는 “최근 1년 내 가족묘를 방문해 청소 등 성묘를 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베트남도 가족묘 보유율이 84%, 방문한 비율은 81%에 달했다. 반면 한국은 가문의 조상을 모신 묘를 보유한 비율은 55%, 매년 참가하는 비율은 43%에 머물렀다. 이는 말레이시아의 가족묘 보유율(54%)이나 캄보디아(53%) 인도네시아(52%) 싱가포르(47%) 태국(45%) 등과 유사한 수준이다. 퓨리서치센터는 “일본의 경우 화장 문화가 발달했지만, 베트남에서는 대부분 매장을 선호하는 등 구체적으로 유해를 수습하는 문화에서는 차이점을 드러냈다”고 덧붙였다.

최근 1년간 조상을 기린 활동은?

최근 1년간 조상을 기린 활동은?

조상에 대한 제례 활동에서 차이가 났다. ‘최근 조상을 기리기 위한 활동’을 묻는 질문에 '영정 앞에 향을 피운다'(Burned Incense)는 답변은 베트남 96%, 대만 81%, 일본은 79%에 달한 반면 한국은 45%로 절반에 그쳤다. 또 헌화(獻花), 혹은 거촉(擧燭)을 한다는 답변도 베트남(90%)이나 일본(78%)에 비해 한국은 45% 수준이었다.

‘음식물 봉헌’ 등 제사상 차림에 대해서도 한국(52%)은 베트남(86%) 대만(77%) 일본(70%)보다 적었다. 퓨리서치센터는 “돌아가신 조상에게 돈(저승 돈) 등 사후에 필요할 다른 물건을 봉헌하는 관습은 베트남(73%)과 대만(70%)에선 일반적이었지만, 다른 국가에선 거의 행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돌아가신 날짜를 기념해 제례를 지내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스리랑카(93%)와 태국(90%)에서는 압도적으로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불교도들은 제례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지만, 기독교인들은 대체로 소극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퓨리서치센터는 “다만 베트남 기독교인들은 제례 활동에 적극적이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는 퓨리서치센터가 지난해 6~9월 한국과 일본 대만 홍콩 베트남 등 동아시아 5개국(성인 1만39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와 2022년 6~9월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스리랑카 태국 등 동남아 6개국(1만3,122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를 합산해 분석한 내용이다.

강주형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