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에 대학병원 75% 경영난... 보건노조 "상황 지속 땐 내달 전면투쟁"

입력
2024.06.24 16:30
구독

<노조, 대학병원 47곳 등 실태 조사>
병원 비용 절감 위해 휴직 강요·복지 축소
PA 간호사 교육 부실로 의료사고 발생도
"정부, 이달 내 정상화 특단 조치 내놔야"

18일 오전 서울 동작구 보라매병원에서 간호사가 보호자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오전 서울 동작구 보라매병원에서 간호사가 보호자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사 집단행동으로 대학병원 10곳 중 7곳 이상이 경영난을 겪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간호사 등 병원 노동자들은 이로 인한 긴축 경영 여파로 고통을 겪고 있다며 이달 말까지 사태가 해결되지 않으면 전면 투쟁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24일 보건의료노조는 "대학병원의 74.5%가 전공의 진료거부 사태로 비상경영을 선포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올해 4월 24일부터 5월 22일까지 보건의료노조 조합원이 조직된 113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했다. 이 중 대학병원은 47곳이다.

노조는 병원이 긴축에 돌입하면서 그 피해가 의사 외 다른 직원들에게 고스란히 전가됐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비상경영에 따라 무급휴직, 연장근로 자제, 결원 미충원, 신규채용 중단 등 인건비 절감을 비롯한 각종 비용 절감 정책이 시행되면서 직원들의 근무 환경이 나빠졌다"고 지적했다. 노조에 따르면 병원들은 경영난 타개 명목으로 의료 소모품 절약, 신규 근무복 지급 중단, 근무복 세탁 자제, 직원 주차장 이용요금 부과 등 직원 복지 정책도 대폭 줄이고 있다고 한다.

간호사들은 진료지원(PA) 간호사 시범사업을 둘러싼 불안과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노조 조사 결과 대학병원 47곳 중 44곳(93.6%)이 일반 간호사를 PA 간호사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병원 근무 간호사들은 "시범사업 이전에 비해 PA 간호사 업무가 늘어났다"고 호소했고, 특히 14개 병원 간호사들은 "증가된 업무에 따른 교육훈련을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PA 간호사를 제대로 교육하지 않은 채 의사 업무를 맡겨 의료사고가 발생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병원 한 곳에서는 PA 간호사가 의사 업무를 수행하다 의료사고가 벌어졌다는 증언이 있었고, 8개 병원에서는 투약이나 시술 전 발견해 막지 않았더라면 환자가 위해를 입을 뻔한 '근접오류’가 있었다는 답이 나왔다.

보건의료노조는 이달 말까지 의정갈등 사태가 정상화되지 않으면 전면 투쟁에 나서겠다고 예고했다. 노조는 "의료 파행의 틈바구니에는 수많은 보건의료 노동자들의 피눈물과 고통이 스며 있다"며 "조속한 진료정상화 조치가 없으면 노동자들도 더 이상 인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정부가 이달 내로 사태를 해결할 특단의 조치를 내놔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의사 부족 실태는 물론이고 이들의 갑질 사례를 사회에 알리는 전면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박지영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