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윤 대통령, 박정훈 해임 당일 국방차관·국방비서관과 직접 통화

입력
2024.06.19 16:02
수정
2024.06.19 16:12
구독

이종섭과 같은 날에도 3번 통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경기 포천 승진훈련장에서 열린 ‘2023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을 참관하며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훈련상황에 대해 묻고 있다. 포천=서재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경기 포천 승진훈련장에서 열린 ‘2023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을 참관하며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훈련상황에 대해 묻고 있다. 포천=서재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사건 관련해 수사외압 의혹이 불거진 시기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과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에게 전화를 걸어 통화한 것으로 19일 확인됐다.

신 전 차관과 임 전 비서관의 통신기록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해 8월 2일 오후 1시 25분 검사 시절 쓰던 휴대폰으로 임 전 비서관과 4분 51초간 통화했다. 이어 같은 날 오후 4시 21분 같은 휴대폰으로 신 전 차관에게 전화를 걸어 10초간 통화했다. 윤 대통령은 당시 휴가 중이었다.

윤 대통령이 이들과 통화한 지난해 8월 2일은 채 상병 사망사건의 수사 외압 의혹의 분기점으로 지목된 날이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은 이날 오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지시를 어기고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에게 업무상과실치사 혐의가 인정된다는 취지로 사건인계서를 경북경찰청에 이첩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낮 12시부터 오후 1시까지 우즈베키스탄에 출장을 나가있던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3차례에 걸쳐 약 18분간 통화했고, 박 대령은 같은 날 낮 12시 45분쯤 보직 해임됐다. 국방부 검찰단은 같은 날 저녁 경북경찰청에서 사건기록을 회수했다.

윤 대통령이 이 전 장관뿐만 아니라 임 전 비서관과 신 전 차관과 직접 통화한 사실이 밝혀지며 채 상병 사건에 대한 수사외압 의혹은 더욱 짙어질 전망이다.

박준규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