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 연대에서 경제적 연대로!

입력
2024.06.19 04:30
26면
구독

6.19 68년 미국 빈민권리운동

1968년 6월 미국 워싱턴DC 빈민행진. 흑인이 주류였지만 히스패닉과 백인 이민자, 원주민도 가세했다. AP 사진, whyy.org

1968년 6월 미국 워싱턴DC 빈민행진. 흑인이 주류였지만 히스패닉과 백인 이민자, 원주민도 가세했다. AP 사진, whyy.org

미국 흑인인권운동은 1964년 시민권법과 65년 선거권법으로 정치-제도적 승리를 거뒀다. 마틴 루서 킹과 남부기독교지도자회의(SCLC)는 더 근원적이고 실질적인 운동, 즉 경제인권을 위한 빈민들의 투쟁을 준비했다. 이른바 ‘빈민 권리 운동(Poor People’s Campaign)’이었다.

미국 인구조사와 노동통계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당시 빈곤선 이하 미국인은 약 22~33%(4,000만~6,000만 명)에 달했다. 킹 목사와 SCLC 지도부는 흑인 중심 민권운동을 원주민과 히스패닉, 유럽계 이민자 등 경제적 약자들로 확산하고자 했다. 1964년 대통령 린든 존슨의 ‘위대한 사회’ 프로젝트의 양대 사회개혁 프로그램도 인종차별 철폐와 함께 빈곤 극복이었다.

1968년 4월 킹 목사가 피살되면서 저 캠페인은 킹의 동지였던 SCLC 신임 회장 랠프 애버내시(Ralph Abernathy)의 숙제가 됐다. 애버내시 등 지도부는 1968년 5월 12일부터 6월 24일까지 6주간 수도 워싱턴DC에서 다양한 집회와 행진 등 행사를 전개하며 연방 의회와 행정부에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제시해 관철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그들은 워싱턴몰에 대규모 임시천막을 설치, 시위대 최소 3,000명이 상주하도록 했다. 그들의 요구는 고용 기회 확대와 기초소득 보장, 주거(주택) 차별 철폐였고 그를 위해 최소 120억 달러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라고 주장했다.

캠페인의 절정은 6월 19일 워싱턴기념비에서 링컨기념관까지의 행진이었다. 백인들까지 가세한 다인종 시위대 규모는 5만~10만 명에 달했고, 허버트 험프리 부통령과 민주당 대선 후보 유진 매카시 등도 연단에 서서 연설했다.

밑 빠진 독처럼 예산을 잡아먹던 베트남전쟁 탓에 존슨의 공약도 빈민 캠페인도 실질적 성과를 얻진 못했다. 하지만 미국 시민운동은 새로운 희망과 가능성을 경험했다.

최윤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