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란히 열린 G7·나토 회의… 우크라이나 장기 지원안 쏟아졌다

입력
2024.06.14 17:26
수정
2024.06.14 18:29
8면
구독

G7 "69조 원" 이어 나토 "59조 원"
미국·일본, 우크라와 안보 협정 체결
미국·유럽 정치 변화 대비한 듯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왼쪽)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3일 이탈리아 풀리아주에서 열린 주요 7개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별도로 만나 양자 안보 협정을 체결한 뒤 공동 기자회견장에 들어서고 있다. 풀리아=AFP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왼쪽)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3일 이탈리아 풀리아주에서 열린 주요 7개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별도로 만나 양자 안보 협정을 체결한 뒤 공동 기자회견장에 들어서고 있다. 풀리아=AFP 연합뉴스

13일(현지시간) 나란히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국방장관 회의에서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장기 지원 방안이 쏟아졌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제2도시인 하르키우까지 넘보는 등 공세를 강화한 데다, 미국과 유럽에 생길 수 있는 정치적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G7 "69조 원" 나토 "59조 원" 재정 지원

미국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13~15일 일정으로 이탈리아 풀리아주 브린디시의 보르고 에냐치아 리조트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는 첫날부터 G7 회원국, 유럽연합(EU), 호주 기관에 동결된 러시아 중앙은행 보유 외환 약 2,820억 달러(약 375조 원)의 이자 수익을 담보로 우크라이나에 약 500억 달러(약 69조 원)를 대출하는 방안에 대한 합의가 도출됐다.

13, 14일 나토 국방장관 회의에서도 '연 400억 유로(약 59조 원) 군사적 지원' 논의가 이뤄졌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13일 기자회견에서 "나토 동맹국들이 그동안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군사적 지원 규모를 최소한으로 유지하고, 동맹들이 이를 공평하게 분담하자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나토 역할이 커지면 우크라이나가 예측 가능성을 가질 것"이라면서다.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판 마셜 플랜'을 개발하자는 목소리를 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G7 정상회의장을 찾아 "협력국은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명확한 계획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셜 플랜으로 불리는 유럽부흥계획(ERP)은 제2차 세계대전 뒤 미국이 서유럽 국가 재건을 위해 시행한 원조 계획이다.

13일 이탈리아 풀리아주 브린디시의 보르고 에냐치아 리조트에서 열린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샤를 미셸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시 수낵 영국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풀리아주=AFP 연합뉴스

13일 이탈리아 풀리아주 브린디시의 보르고 에냐치아 리조트에서 열린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샤를 미셸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시 수낵 영국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풀리아주=AFP 연합뉴스


'미국 정권 바뀔라'... 양자 안보 협정 체결도

미국, 일본은 우크라이나와의 양자 안보 협정도 체결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젤렌스키 대통령과 10년짜리 양자 안보 협정을 체결한 뒤 "미군 파견 및 우크라이나군 훈련, 새로운 무기와 탄약 지원, 정보 공유 확대, 우크라이나 방위 산업 기지에 대한 투자 등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과의 양자 안보 협정이 나토 회원국 가입을 위한 징검다리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10년짜리 양자 안보 협정 체결을 통해 올해만 45억 달러(약 6조 원)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실은 성명을 통해 "나토 비회원국, 그리고 태평양 지역 국가와 체결한 첫 번째 안보 협정"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일본의 합류로 우크라이나와 양자 안보 협정을 체결한 국가는 17개국으로 늘어났다.

우크라이나 장기 지원 방안이 쏟아진 데에는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할 경우 우크라이나 지원 동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했다는 해석이 많다. 최근 치러진 유럽의회 선거에서 유럽의 양대 강국인 프랑스·독일의 극우 정당이 크게 선전한 것도 우크라이나 지원 불안정을 야기하는 요소다. 서방 국가들은 '서방이 장기전에 충분히 대비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러시아에 던지기 위한 것이라고도 설명했다.

베를린= 신은별 특파원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