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아들 '유죄', 오히려 트럼프에 타격? 미 유권자 80% "투표 영향 없어"

입력
2024.06.13 18:00
구독

'헌터 바이든 유죄'… 누구한테 득 될까
"트럼프의 '사법피해자' 논리 타격" 분석도
강성 지지층은 굳건… '사법부 손보기' 공세

조 바이든(가운데) 미국 대통령이 11일 미국 델라웨어주 뉴캐슬 주방위군 기지에 도착해 아들 헌터와 이야기하고 있다. 헌터는 이날 불법 총기 소지 혐의로 유죄 평결을 받았다. 뉴캐슬=AP 연합뉴스

조 바이든(가운데) 미국 대통령이 11일 미국 델라웨어주 뉴캐슬 주방위군 기지에 도착해 아들 헌터와 이야기하고 있다. 헌터는 이날 불법 총기 소지 혐의로 유죄 평결을 받았다. 뉴캐슬=A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아들에 대한 '불법 총기 소유' 유죄 평결이 오는 11월 대선 표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가도를 가로막아선 '사법 리스크'가 실제로는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오히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사법 탄압' 주장에 힘이 빠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헌터 재판, 미국 유권자 마음 바꾸지 않는다"

1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유권자 10명 중 8명(80%)은 바이든 대통령의 차남 헌터 바이든이 받은 유죄 평결이 대선에서 바이든 대통령에게 투표할 가능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답했다. 로이터가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와 함께 전국 등록 유권자 930명을 대상으로 지난 10, 11일 실시한 온라인 여론조사 결과다.

'성추문 입막음 돈' 형사재판에서 유죄 평결을 받은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61%가 투표에 영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헌터의 유죄 평결보다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유죄 평결이 표심 향방에 더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대선 슬로건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가 새겨진 빨간 모자를 쓰고 지난 9일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연설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대선 슬로건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가 새겨진 빨간 모자를 쓰고 지난 9일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연설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AP 연합뉴스


'헌터 유죄', 트럼프의 '사법 피해자' 논리 흔들어

헌터의 유죄 평결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선거 전략에 타격을 입혔다는 분석까지 제기됐다. 미국 CNN방송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두 가지 주장이 이번 유죄 평결로 신뢰를 잃게 됐다고 짚었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①헌터 재판을 다루는 델라웨어주(州)의 편향된 배심원단은 공정한 평결을 할 수 없다는 공세를 펴왔다. 바이든 대통령이 36년간 상원의원을 지낸 민주당 텃밭 주라는 점에서다. 하지만 이 논리는 유죄 평결로 물거품이 됐다고 CNN은 전했다. 무엇보다 4건의 형사재판을 앞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줄곧 주장해 온 ②백악관과 사법부의 '정치 탄압' 피해자라는 프레임이 뿌리째 흔들리게 됐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특검 조사 영상 제출을 거부했다 의회 모독 혐의로 고발될 위기에 놓인 메릭 갈런드 미국 법무장관. 워싱턴=AF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특검 조사 영상 제출을 거부했다 의회 모독 혐의로 고발될 위기에 놓인 메릭 갈런드 미국 법무장관. 워싱턴=AFP 연합뉴스


트럼프 측, 음모론 퍼뜨리고… 미 하원, 법무장관 고발 결의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성 지지층은 여전히 굳건하다. 오히려 헌터 재판은 바이든 대통령이 뒤에 있는 더 큰 범죄를 덮기 위한 '가짜 재판'이라는 음모론이 퍼지고 있다. 공화당 소속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까지 "우리는 바이든가(家)의 부패한 사업 거래에 대해 계속해서 책임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헌터가 아버지 지위를 이용해 우크라이나 에너지기업으로부터 거액을 받았다는 등 부패 의혹을 걸고 넘어진 것이다.

공화당은 사법당국에 대한 공세 고삐를 더욱 죄고 나섰다. 공화당이 장악한 미국 하원을 통해 12일 메릭 갈런드 법무장관을 의회 모독 혐의로 고발하도록 요청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전직 검사로서 사법 시스템의 양극화를 심화하는 결의안에 양심상 찬성할 수 없다"는 데이비드 조이스 의원을 제외한 공화당 의원 전원이 찬성표를 던졌다.

이번 결의는 바이든 대통령의 인지 능력 논란을 야기한 로버트 허 전 특검의 조사 영상 제출을 갈런드 장관이 거부하면서 이뤄졌다. 바이든 행정부가 사법부를 정치화하고 있다고 주장해 온 공화당이 앞서 예고한 '사법부 손보기' 차원이다.

권영은 기자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