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재집권 시 미국 징병제 부활? 측근 "강력히 고려해야"

입력
2024.06.12 08:07
수정
2024.06.12 13:44
구독

WP "트럼프 측 인사, 의무복무 주장"
부통령 후보도 "의무복무 발상 좋다"
트럼프는 WP 비난하며 "가짜뉴스"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 9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선거 유세에서 연설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AP 연합뉴스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 9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선거 유세에서 연설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들이 그의 재집권 시 군 복무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주장하고 있다고 미 워싱턴포스트(WP)가 11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국방부 장관 후보로 거론되는 크리스토퍼 밀러 전 국방장관 직무대행 등 트럼프 전 대통령 측 인사들은 군 의무 복무를 도입해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군 병력 부족 해소와 사회 통합 차원에서다.

밀러 전 국방장관 직무대행은 인터뷰에서 군 의무 복무를 젊은이들의 "통과의례"라며 "강력히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의무 복무가 젊은이들이 서로에 대해 배우고 의지하게 할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지금 우리 사회는 공통의 비전과 함께 집중할 대상을 제공해 모두를 변화시키는 기제를 갖고 있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차기 보수 정부 국정과제 제언을 담은 '프로젝트 2025' 보고서에서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학교에 다니는 모든 학생은 군직업적성검사(ASVAB)를 의무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도 폈다. 강대국 간 경쟁을 준비하기 위해 군 복무 가능성이 있는 인력과 적성을 사전에 파악하자는 것이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 종전 2년 전인 1973년 징병제를 폐지하고 모병제를 채택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군 병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미 국방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모병 실적은 목표보다 약 4만1,000명 모자랐다. 해병대, 우주군만 모병 목표치를 채웠다. 육군은 젊은 미국인의 71%가 비만, 마약 사용, 신체·정신 건강 문제, 비행, 적성 등의 문제로 입대 자격이 안 된다고 밝힌 바 있다. 육군에 따르면 현재 미국 인구의 1%만 군에서 복무 중이다.

WP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측근들이 군 의무 복무에 긍정적 입장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러닝메이트(부통령 후보)로도 거론되는 J. D. 밴스 공화당 의원은 인터뷰에서 군 복무 인원을 늘려야 한다며 "난 의무 복무라는 발상을 좋아하며 전시에 국한해 말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 집권 당시 국방부 입법업무 담당 차관보를 지낸 로버트 후드도 "우리 모두 (국가로부터) 받기만 하는 사람이 되고 주는 사람이 없으면 이 나라는 망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WP 보도를 "가짜뉴스"라고 일축했다. 그는 "WP는 8년 동안 유권자와 내 관계를 훼손하려고 시도했고 실패했으며, 이는 그런 시도의 연장선"이라고 비난했다.

김나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