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교수들도 집단행동 본격화... 빅5 병원 집단휴진 강행하나

입력
2024.06.11 19:30
수정
2024.06.11 22:24
1면
구독

빅5도 의협 결정 따라 18일 휴진 방침
진료 일정 변경 전무… 파급력 '미지수'
병원장 불허, 직원도 진료 조정 업무 거부
환자단체 "중재자 교수가 전면에" 비판

서울아산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울산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11일 총회를 열어 휴진 방식과 기간 등을 논의했다. 뉴시스

서울아산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울산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11일 총회를 열어 휴진 방식과 기간 등을 논의했다. 뉴시스

서울대 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이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대한의사협회(의협)가 18일 전 회원 휴진을 예고한 이후 5대 상급종합병원(빅5 병원)을 비롯한 주요 대학병원 교수들이 휴진에 동참할 움직임을 보여 의료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학병원은 주로 중증·응급 의료를 담당하기 때문에 개원의 휴진보다 환자들에게 훨씬 위협적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휴진을 철회하라”는 각계 호소에도 의사들이 아랑곳 않자, 환자들도 기자회견을 계획하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섰다.

11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울산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의협 결정에 따라 18일 휴진하기로 한 데 이어 이날 오후 교수 총회를 열어 무기한 휴진 여부를 논의했다. 앞서 성균관대 의대(삼성서울병원)와 연세대 의대(세브란스병원), 가톨릭대 의대(서울성모병원) 교수 비대위도 18일 휴진 방침을 정했다. 서울대 의대 교수들처럼 무기한 휴진할지 여부를 두고는 의견이 갈리지만, 빅5 병원 모두가 의협과 보조를 맞추게 됐다. 의료계 관계자는 “의협을 중심으로 의사들이 결집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고려대 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 등이 속한 고대 의대 교수 비대위도 투표를 거쳐 휴진을 결의했다.

전공의 집단 이탈 이후 비상진료를 지탱해 온 교수들마저 진료실을 떠나면 의료체계 마비가 불가피하다. 응급실, 중환자실, 투석실 등 필수의료 분야는 유지한다고 해도, 예정된 수술, 검사, 외래진료가 미뤄지면 중병과 싸우는 환자에게는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정부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교수 휴진율이 의사 집단행동에 핵심 변수가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전병왕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휴진 전에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교수 비대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11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내원객, 의료진 등이 응급실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11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내원객, 의료진 등이 응급실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휴진을 일주일 남겨둔 현재까지 빅5 병원에서 진료나 수술 일정 변경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A병원 관계자는 “병원장 승인 없이 교수가 독자적으로 휴진할 수 없다”며 “교수 비대위가 휴진을 추진하고 있지만 외부에서 보는 것과 달리 내부에선 호응도가 높지 않다”고 전했다. B병원 관계자도 “비대위가 휴진 여부를 교수의 자율적 판단에 맡겼으나 아직 진료 변경 요청이 없어서 대책을 준비하진 않고 있다”고 했다. C병원 역시 “원칙과 실행은 별개 문제”라며 “결국 찻잔 속 태풍으로 끝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집단휴진 대열의 선봉에 선 서울대 의대 교수들도 고심이 깊은 것으로 전해진다. 10일 열린 교수 전체 회의에선 휴진 반대 목소리도 나왔고 휴진 방법, 기한 등을 두고 갑론을박이 오갔다고 한다. 휴진일까지 시일이 촉박한 탓에 진료 일정 변경이 수월하지 않다는 현실적 어려움도 있어 진료과별로 추가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병원 내부 여론은 싸늘하다. 분당서울대병원의 경우 노동조합 차원에서 ‘교수 휴진에 협조하지 않는다’는 지침을 마련했다. 한 관계자는 “병원장이 휴진을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직원들은 교수들이 지시하는 진료 예약 조정 업무를 수행할 수 없고 수행해서도 안 된다”며 “일부 교수가 휴진을 통보했지만 거부했다”고 밝혔다.

110일 넘게 의료공백을 견뎌 온 환자들도 “더는 참기 어렵다”며 행동에 나섰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12일 서울대병원 앞에서 서울대병원 휴진 및 의료계 총파업 철회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루게릭연맹회, 췌장암환우회 등 8개 소속 단체가 모두 참여한다. 김성주 회장은 “갈등을 봉합하고 중재해야 할 의대 교수들이, 특히 공공의 책무가 있는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집단휴진 전면에 나선 것을 납득하기 어렵다”며 “그동안 의사를 비판하면 병원에서 내쫓길까 봐 환자들이 말을 아꼈지만, 앞으로는 국민에게 환자들 입장을 적극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김표향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