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때 "석유 있다" 했지만 해프닝으로 끝난 포항 영일만

입력
2024.06.03 13:34
수정
2024.06.03 16:36
구독

1975년 박 정부 "포항 인근에 석유 매장" 발표
정부에 보고된 '원유 샘플' 결국 경유 비중 높아
인근 해역 계속 시추했지만 원유 발견되지 않아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첫 국정 브리핑에서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했다. 사진은 유망구조 도출지역 지도.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첫 국정 브리핑에서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했다. 사진은 유망구조 도출지역 지도. 뉴스1


3일 윤석열 대통령이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가 매장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한 '포항 영일만' 일대는 과거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도 '석유 발견 해프닝'이 일어났던 곳이다. 당시 정부 발표의 계기가 된 '포항 영일만 원유'라고 보고됐던 물질에선 인위적 정유 과정을 거쳐야 나오는 '경유' 성분만 나왔다.

1974년 박정희 정부는 1차 석유 파동으로 물가상승률이 20%대로 치솟자 석유 수급을 자체적으로 해야 한다는 판단을 내렸다. 박정희 정부는 1964년 시추한 적 있는 경북 포항시 인근 해역을 석유 탐사 및 시추 작업 최종 후보지로 결정하고 1975년 시추에 착수했다.

박정희 정부가 포항 영일만 일대에 뚫은 시추공은 3개였다. 3곳의 상황에 따라 시추를 진행하다 1975년 12월 화강암층을 뚫고 1.475km 지점을 지난 시추공 한 곳에서 검은 액체가 나오기 시작했다고 한다. 당시 흘러나온 검은 액체의 양은 드럼 한 통 정도였지만 이 검은 액체는 정부에 '원유 샘플'로 보고됐다. 박정희 정부는 해당 샘플을 원유라고 판단하고 다음 해인 1976년 1월 기자회견을 통해 "포항에서 석유가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발표 당시 원유 샘플로 보고된 물질이 정말 원유인지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였다. 이에 정부 관계자들은 민간 정유회사에 개별적으로 성분 분석을 의뢰했고 원유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원유라면 휘발유, 경유, 등유, 증유, 가스 등 여러 물질이 뒤섞여 있는 것으로 나와야 하는데 '경유' 성분 비중이 굉장히 높게 나왔다는 것이다. 여기에 당시 발견 지점 인근에서도 더 이상 원유로 추정할 수 있는 물질이 발견되지도 않았다.

이후 박정희 정부의 '석유 발견' 발표는 해프닝으로 정리됐다. '원유 샘플'은 시추 기계에서 사용한 정유가 흘러나온 것이거나 경유 비중이 굉장히 높은 독특한 원유 극소량이 하필 시추 지점에 있었던 게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는 선에서 일단락됐다.

이상무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