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왕' 그로스 "트럼프가 바이든보다 채권 시장에 더 나빠"

입력
2024.05.27 16:02
수정
2024.05.27 16:35
구독

채권시장 대부 빌 그로스, FT와 인터뷰에서
"트럼프, 감세 등 옹호… 시장에 더 파괴적"

'채권왕'이라 불리는 미국의 전설적 투자자 빌 그로스. 공식 홈페이지 캡처

'채권왕'이라 불리는 미국의 전설적 투자자 빌 그로스. 공식 홈페이지 캡처

'채권왕'으로 불리는 미국의 유명 투자자 빌 그로스가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로 나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채권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로스는 26일(현지 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은 지속적 감세와 더 많은 비용이 드는 것들을 옹호하기 때문에 한층 비관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 바이든 대통령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이 더욱 파괴적(disruptive)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FT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격적인 감세 정책을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재선에 성공하면 자신이 집권한 2017년 단행했던 법인세 감면을 영구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초당파 비영리 정책기구인 '책임 있는 연방예산위원회(CRFB)'는 이 계획에 향후 10년간 4조 달러(약 5,460조 원)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했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이런 정책은 미국 재정 적자를 가중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로스는 채권운용사 핌코의 공동창업자로, 채권 투자계의 전설적인 인물이다. 그는 최근 미국의 재정 적자가 급증하자 지난 2일 개인 홈페이지에서 "그들(미 정부)이 당신에게 채권을 팔도록 두지 말라"며 채권 시장을 비관적으로 내다봤다. 그는 "범인은 적자"라며 "매년 2조 달러씩 쌓이는 재정 적자가 시장에 압력을 가한다"고 지적했다. FT는 "지난해 미국 적자는 국내총생산(GDP)의 8.8%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2년(GDP의 4.1%)의 두 배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일 위스콘신주 워키샤에서 열린 선거 유세에서 연설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일 위스콘신주 워키샤에서 열린 선거 유세에서 연설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트럼프 전 대통령에겐 최근 희소식이 잇따랐다. 앞서 공화당 대선 경선에서 하차했으나 트럼프 전 대통령을 지지하지는 않았던 니키 헤일리 전 유엔 대사는 지난 23일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투표하겠다"며 처음으로 지지를 표명했다. 세계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 블랙스톤의 창업자인 '공화당 큰손' 스티븐 슈워츠먼 회장도 지난 24일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를 선언하며 그의 선거운동 기금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채권 시장 대부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부정적 평가를 내놓은 셈이다. FT는 "그로스의 발언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선거운동에서 핵심 주장 중 하나인, 그가 바이든 대통령보다 미국 경제와 금융 시장을 더 잘 관리할 것이라는 논리를 약화시켰다"고 전했다.

김나연 기자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