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도 중풍이? 시력 떨어진 고혈압 환자라면 '이것' 의심해야

입력
2024.05.24 22:50
구독

[건강이 최고] 망막혈관폐쇄, 혈관 막혀 시력 감소


뇌졸중(중풍)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파열돼 뇌 조직 내부로 혈액이 유출되는 뇌출혈을 일컫는 말이다. 뇌졸중은 치명적인 응급 질환으로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 필요한 조치를 받아야 한다. 중요한 혈관이 지나는 눈에도 뇌졸중이 생길 수 있다. 여러 원인으로 혈관이 막히게 되어 시력 감소를 초래하는 질환을 ‘망막혈관폐쇄’라고 한다.

망막은 중요한 신경 조직으로 구조가 얇은 막이며, 그물 같은 모양으로 혈관이 복잡하게 퍼져 있다. 망막에는 망막에 피를 공급해주는 망막 동맥, 망막에서 사용한 피를 다시 심장으로 보내는 망막 정맥, 망막 동맥과 망막 정맥에서 갈라져 나온 혈관인 분지가 있다. 폐쇄된 망막 혈관의 위치에 따라 중심동맥폐쇄 또는 중심정맥폐쇄, 분지동맥폐쇄 또는 분지정맥폐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망막혈관폐쇄 진료 환자는 10년간 70%가량 늘었다. 망막혈관폐쇄 환자는 2011년 4만4,010명에서 2021년 7만5,154명으로 증가했다.

망막혈관폐쇄의 주증상은 시력 저하로 폐쇄된 위치에 따라 시력 저하 정도 및 저하 속도에 차이가 있다.

망막중심 동맥폐쇄는 급격한 시력장애를 보이며, 망막분지 동맥폐쇄는 폐쇄된 위치에 따라 시력 저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망막중심 정맥폐쇄 또한 시력이 현저히 감소한다. 시력장애로 안과를 찾으면 안저(眼底) 검사를 시행한 뒤 혈관 폐쇄를 관찰한다.

망막동맥폐쇄는 안과에서 초응급에 해당하는 질환으로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 발병 후 2시간 이내 적극적으로 안압을 낮춰야 하며 폐쇄가 2시간 이상 지속되면 시력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

망막정맥폐쇄는 망막의 전반적인 허혈에 의한 신생 혈관이 생기지 않도록 레이저를 이용한 광(光)응고술을 시행한다. 망막 중심 정맥폐쇄의 경우에는 망막 중심 동맥폐쇄보다는 시력 감소가 심하지 않지만 합병증으로 신생 혈관 녹내장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병 경과 및 치료 결과가 매우 나쁘다.

고혈압이 있으면 망막 혈관폐쇄가 일어날 가능성이 커진다. 고혈압이나 당뇨병·동맥경화 환자의 경우 기저 질환을 잘 관리하고 노안이 시작되는 40대부터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아울러 적정 체중 유지 및 금연, 금주 실천이 중요하다.

망막혈관폐쇄는 급격한 시력 저하는 물론 날파리 등이 눈앞에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비문증(飛蚊症), 시야 중심부가 가려지는 중심 암점(暗點) 등을 동반할 수 있다. 특히 날이 추워질수록 혈관이 수축하는 만큼 겨울철에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도 알려진다.

김주연 세란병원 안과센터장은 “눈 혈관이 막히는 망막혈관폐쇄는 급격한 시력 저하 외에 별다른 전조 증상이 없어 위험한 질환”이라며 “망막혈관폐쇄는 주로 50세 이상에서 발생하기에 시력이 흐려지는 증상을 노안으로 오인하기 쉽다”고 했다.

김 센터장은 “망막혈관폐쇄를 예방하려면 고혈압 등 기저 질환을 잘 관리해야 하며, 1년에 1~2회 이상 안저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며 “비만은 동맥경화를 유발할 수 있어 적정 체중을 유지해야 하며 고혈압과 이상지질혈증을 일으키는 음주는 가급적 삼가야 한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