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원점 재검토 시 돌아와"... 전공의 복귀 전제 하늘과 땅 차이

입력
2024.05.21 19:20
수정
2024.05.21 20:54
구독

의협 "일단 돌아와 환자부터 살리자"
복귀 조건은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정부는 '의대 증원 확정', 다른 출발선

대한의사협회(의협)가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의협 제공

대한의사협회(의협)가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의협 제공

사법부가 정당성을 인정했어도 여전히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전공의들이 돌아와야 이 사태가 해결된다"고 밝혔다. 연일 전공의 복귀를 촉구하는 정부와 사실상 의료 공백 해법은 같아도 분명한 차이점은 존재한다. 의협은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를 전공의 복귀의 전제 조건으로 내걸고 있기 때문이다.

의협이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연 '대통령실 관계자 처벌 촉구 기자회견' 질의응답 과정에서 최안나 의협 총무이사 겸 보험이사는 "전공의들이 빨리 돌아와야 한다"며 "근무 환경과 처우 개선은 꼭 해야 하지만 그렇더라도 일단은 환자부터 살려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최 이사는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병원이 망하고 의료 시스템이 붕괴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의협을 믿고 돌아와 힘들어하는 환자들을 살리면 우리가 원점에서 정상화되도록 책임지고 논의하겠다"고도 했다.

"이제 그만 돌아오라"며 유화책을 꺼내 들고 있는 정부와 같은 목소리를 의협이 낸 것은 이례적이다. 다만 최 이사는 "전공의 복귀를 위해 원점에서 모든 것을 재논의하겠다"고 했다. 정부가 의대 증원 원점 재논의부터 수용해야 전공의가 돌아올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반면 정부는 의대 증원은 확정됐다는 전제 아래 의료 시스템 정상화와 전문의 자격 취득 지연 등 개인적 불이익을 막기 위해 전공의들의 복귀를 촉구하고 있다. 전공의 복귀라는 큰 방향을 같이해도 양쪽의 인식은 출발선부터 다른 셈이다.

최 이사는 "원점에서 재논의를 해야 전공의도 돌아오고 우리도 의정 협의에 나설 수 있다"면서 "매년 2,000명씩 늘리면 병원이 망하고, 의료 시스템이 붕괴될 게 뻔한데 무엇을 더 논의한다는 말인가. 원점 재논의만이 모든 사태를 풀어갈 수 있다"고 거듭 말했다.

채동영 의협 홍보이사 겸 공보이사도 "정부는 복귀 시한 제시로 전공의들을 설득할 수 없을 것"이라고 거들었다. 채 이사는 "원점 재검토는 아무 조건 없이 대화하자는 것인데, 정부는 2,000명 증원은 불변이라면서 의협에는 조건 없는 논의를 주장한다"고 말했다.

한편 의협은 전날 언론에 "전공의들의 복귀가 늦어질수록 각종 손해배상 책임을 비롯해 짊어져야 할 몫이 커질 수 있다"고 한 대통령실의 익명 인사를 공격했다. 성혜영 의협 대변인은 "구상권을 청구할 대상은 전공의가 아니라 전공의 없이는 병원이 돌아가지 않게 의료제도를 망쳐 온 보건복지부 관료와 대통령실 관계자"라며 "의료대란 사태를 악화시키는 박민수 복지부 차관과 대통령실 인사를 처벌해 달라"고 대통령에게 요청했다.

김창훈 기자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