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강릉단오제와 범일 국사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한 주를 시작하면 신발 끈을 묶는 아침. 바쁨과 경쟁으로 다급해지는 마음을 성인들과 선현들의 따뜻하고 심오한 깨달음으로 달래본다.
성자(聖者)의 동정녀 탄생 신화는 먼 유대 땅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우리에게도 강릉 출신의 범일(梵日) 국사가 그 신화의 주인공이다.
마을의 한 처녀가 우물가에서 해가 담긴 표주박 물을 마셨다. 그러자 처녀에게 아이가 생겼다. 물속의 해를 마셔 잉태했다는데 누군들 믿어줄까. 처녀는 제집을 떠나 먼 곳에서 아들을 낳고 홀로 키웠다. 바로 이 아들이 큰스님이자 강릉의 수호신으로 불리는 범일이다.
큰스님은 그렇다 쳐도 어쩌다 수호신이 됐는가. 청년 범일이 중국에서 유학해 새로운 불교의 물결에 훈육되고 돌아와 선풍(禪風)을 일으킨 것이 9세기다. 불교에서도 가장 깐깐하다는 선종(禪宗)의 개창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그런 그가 강릉을 지키는 수호신이 되어 대관령 산신각에 모셔진 때를 나는 정확히 모른다. 나아가 산신 홀로 두기 저어하다고, 곁을 지키던 호랑이가 마을로 내려가 정씨 집안의 딸을 납치하다시피 데려와 짝을 지웠다 하니, 이야기의 향방을 종잡기도 쉽지 않다. 부인은 '여성황'이 되고, 거처는 지금 강릉 시내 한가운데다. 산신은 대관령에, 여성황은 마을에 각기 자리 잡아 세상을 지킨다.
두 분이 한 해 한 번 만난다. 바로 단오를 전후한 한 주가량이다. 합심하여 마을을 지키는 범일 부부에게 강릉 사람들은 조촐한 합방으로 정성스럽게 사례하는 것이다. 매우 실무적인 성(聖)의 세속화 현상이다. 이런 스토리텔링은 비록 중국에서 기원한 단오의 틀을 쓰고 있으나 강릉만의 단오제를 만들었다. 지난 2005년 유네스코가 강릉단오제에 무형문화유산의 영예를 안긴 까닭이다.
처음으로 돌아가 보자. 아비 모르는 아들로 태어나 홀어머니와 단란하다가 출가한 범일의 초년은 어땠을까. 빙의하듯 그의 생애를 짐작할 이야기가 삼국유사에 한 대목 있다. 중국 유학 중일 때 범일이 명주(明州)의 개국사(開國寺)에 이르러, 왼쪽 귀가 잘린 한 어린 스님을 만난 것은 830년경이었다. 말석에 앉아 있던 범일에게 '저 또한 같은 향리 사람, 본국으로 돌아가시거든 모름지기 제 집을 지어 달라' 한다. 뚱딴지같은 소리다. 다만 한눈에도 가련한 어린 스님의 처지가 범일에게는 남 같아 보이지 않았으리라. 집이란 어머니 계신 위안의 소식이고, 출가자에게 찾아올 '이룸'의 다른 말이다.
낮은 자리에서 사람의 작은 소망까지 알았기에, 선정(禪定)의 일념 와중에 성자는 어느 순간 종교의 틀도 아랑곳 않고, 산신이면 어떠냐고 세속으로 향했으리라 나는 믿는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