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4·10 총선 참패 이후 단행 중인 대통령실 참모 인선을 총선에서 낙선·낙천한 친윤 인사들로 채우고 있다. 어제 공식 출범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도 친윤 인사들을 전진 배치하면서 혁신보다 관리에 무게를 두었다. 국정 쇄신을 바라는 총선 민심과는 정반대 행보다.
윤 대통령은 정무수석실 비서관으로 이용 국민의힘 의원과 김장수 장산정책연구소장, 김명연 전 의원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이들은 모두 총선에서 낙선·낙천한 친윤 인사다. 앞서 임명된 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과 전광삼 시민사회수석도 대통령실 참모로 근무하다 총선 출마를 위해 지난해 말 사직한 이들이다. '회전문 인사'란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총선 패배 직후 윤 정부 들어 '관료 출신'이 맡았던 비서실장과 정무수석에 낙선한 정진석 전 의원과 홍철호 전 의원을 기용했을 때만 해도 기대가 없지 않았다. '의원 출신'을 등용해 민심 전달과 국회와의 소통이 강화할 것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참모진까지 친윤 일색으로 채우는 것은 여론 수렴과 직언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국정 쇄신을 직접 보여줄 수 있는 카드인 '인사'를 측근 자리 보전용으로 허비해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들어 국정을 쇄신하겠다"는 윤 대통령의 다짐까지 무색해졌다.
총선 패배 한 달여 만에 출범한 여당 지도부 구성도 쇄신과 거리가 멀다. 비대위 7명 중 황우여 위원장과 30대 김용태 당선자를 제외하면 친윤으로 분류된다. 차기 전당대회에 앞서 민심 반영을 위해 '당원투표 100%' 룰 개정을 요구하는 비윤·수도권 인사들이 많은 가운데, 친윤 비대위원들은 대체로 현행 유지 입장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국민들이 체감하는 변화가 많이 부족했다"고 자세를 낮췄다. 그러나 회견 직후 발표된 대통령실과 국민의힘의 인선을 보면 윤 대통령과 여당에 변화와 소통 의지가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안일한 인식으로는 총선 참패라는 위기 극복은커녕 앞으로 더 큰 위기를 부를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