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일 동안 기침한다는 '옛날 전염병' 백일해 기승… 접종 후 10년 지났다면 Tdap 접종 권고

입력
2024.05.11 16:35
수정
2024.05.12 00:20
구독

[건강이 최고] 지난달 환자 전년 동기보다 41배 많이 발생

한국일보 자료사진

한국일보 자료사진

백일해가 최근 매섭게 확산하고 있다. 백일해(百日咳·whooping cough)는 100일 동안 기침한다고 할 정도로 격렬한 기침이 장기간 지속되는 감염병이다. 보르데텔라 백일해균(그람 음성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인 백일해는 어릴 때 걸리면 사망률이 높아 영ㆍ유아에게 특히 위험하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발생한 백일해 환자 477명으로 지난해 한 해 발생한 환자(292명)보다 1.63배 늘었다. 특히 지난달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 수만 207명으로 이는 전년 동기간(5명)에 비해 41배나 많았다.

최근 10년 간 가장 많은 환자 수가 발생한 2018년과 비교해도 기록적이다. 2018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이 병 환자는 980명으로 당시 환자 수가 가장 많았던 7월, 8월에도 각각 169명, 158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백일해에 감염되면 초기엔 콧물, 결막염, 눈물, 기침, 발열 등 가벼운 상기도 감염 증상이 나타나다가 기침이 점차 심해진다. 심한 기침 끝에는 구토가 동반되거나 끈끈한 가래가 나오기도 한다.

중기에 접어들면 무호흡, 청색증, 코 출혈, 경막하 출혈, 하안검 부종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회복기에 이르면 기침 정도와 횟수, 구토가 점점 줄고 이런 증상은 1~2주 정도 계속된다.

성인 백일해는 격렬한 기침과 호흡곤란을 동반할 뿐만 아니라, 나이가 많은 환자일수록 폐렴∙축농증∙늑골 골절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65세 이상 환자는 젊은 환자보다 입원 치료가 더 필요하다. 75세 이상 환자의 경우 10명 가운데 1명이 입원 치료를 받았다. 또한 질병관리청은 1세 미만 영아, 면역력이 떨어진 천식·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등 호흡기 환자는 백일해 고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백일해는 영ㆍ유아 주변 성인이 주된 감염원이 될 수 있다. 가족 내 2차 발병률이 80%에 달할 정도로 전염력도 높다.

이 때문에 국내외 주요 가이드라인에서 임신부뿐만 아니라 부모, 형제, 조부모, 영아 도우미 등 영아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성인에게는 Tdap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대한감염학회는 생후 12개월 미만 영아가 백일해에 걸리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부모·형제·조부모 등 영아를 접하는 사람에게 영아와 접촉하기 2주 전까지 Tdap 백신(성인형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백신) 1회 접종을 권고한다.

백일해 백신의 방어 면역은 10년 이상 지속하지 않기에 어릴 때 백일해 백신을 접종했어도 추가 접종을 해야 한다. 18세 이상 성인에서 소아기 DTP 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기록이 분명치 않거나, DTP 도입 시기인 1958년 이전 출생자는 3회를 접종(4~8주 후, 이후 6개월 뒤 다시 접종)하고 10년마다 추가로 Tdap 또는 Td 접종이 권고되고 있다.

이효진 의정부성모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면역력이 떨어진 고령인과 기저 질환자는 백일해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며 “국내 DTP 도입 시기인 1958년 이전 출생자, DTaP 접종 이력이 없는 성인이나 기록이 분명치 않은 성인은 Tdap 백신을 맞는 게 좋다"고 했다.

백일해는 1958년 정부가 디프테리아-파상풍 백신이 포함된 DTP(diphtheria, tetanus, pertussis) 백신 접종을 권장하고, 1989년 개량형 백일해 백신이 들어 있는 디프테리아-파상균-백일해(DTaP) 백신을 국가예방접종(NIP)에 포함하면서 발병이 현저히 줄었지만 2~3년 간격으로 유행하는 선진국형 유행 패턴을 보이고 있다.

최근 영국을 비롯한 유럽 전역에 백일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유럽질병관리예방센터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유럽 내 백일해 발병이 6만 건 가까이 보고됐는데, 이는 2021, 2022년 전체보다 10배 많은 수치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