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치킨 3만원·냉면 1만6000원...가정의 달 외식이 두렵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날과 어버이날을 앞두고 외식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냉면 가격은 1년 만에 7.2% 올라 한 그릇에 평균 1만1,462원을 기록했다. 일부 평양냉면 식당에선 1만6,000원도 받는다. 자장면도 평균 7,069원으로 올랐다. 한 체인점에선 참치 김밥이 4,900원에서 5,500원으로 인상됐다.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는 최근 9개 제품 가격을 1,900원씩 올렸다. 한국맥도날드와 피자헛도 5월 2일부터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외식 물가 상승은 사과와 배 등 과일류 가격이 폭등한 데다가 최근 양배추 한 통이 1만 원에 달하는 등 채소류 가격까지 덩달아 뛴 데 따른 영향이다. 더 큰 문제는 5월 이후다. 지난해 2분기 이후 동결된 도시가스요금이 오르는 건 시간 문제다. 3분기부터는 전기요금 인상도 배제할 수 없다. 중동 확전 가능성에 국제유가까지 배럴당 90달러 선을 위협하고 있다. 서울 휘발유 가격은 어느새 리터당 1,780원까지 올랐다.
그럼에도 대통령실은 물가 관리가 잘되고 있다는 뚱딴지같은 소리를 하고 있다. 영국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10개 선진국 중 한국의 물가 관리를 2위로 평가한 게 근거다. 일본을 제외하면 사실상 물가를 가장 잘 관리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반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월 한국의 식료품 물가 상승률이 35개 회원국 중 3위라고 지적한 바 있다.
원재료와 인건비 등 모든 게 오르는 상황에서 외식 물가의 고공행진은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무조건 정부가 가격을 통제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물가 관리가 잘되고 있다며 자화자찬하는 것과 국민 눈높이와 체감도에 입각해 신속한 수입 확대 등 물가 안정을 위해 가능한 행정 수단을 총동원하는 것엔 큰 차이가 있다. 가격 인상 과정에 담합 등 불공정 소지는 없는지, 유동성을 조이는 게 필요한 때 거꾸로 가는 정책은 없는지도 점검해야 한다. 가정의 달 5월을 가계가 두려워하지 않도록 물가부터 잡는 데 만전을 기하길 바란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