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둔 대학 40곳 3401명 증원 신청... 정부 목표치보다 70% 많아

입력
2024.03.05 15:00
수정
2024.03.05 18:10
N면
구독

40개교 모두 기한 내 증원 신청
정부 '2000명 증원' 목표 크게 상회
1차 조사 최대치 2847명도 웃돌아
비수도권 대학 신청 비중이 72.7%
정부, 총선 전 정원 배분 마무리
교수들은 삭발·사직서 제출도

5일 오전 서울의 한 의과대학에서 교수진이 이동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2025학년도 의과대학 정원 신청에 전국 40개 의대가 3,401명의 증원 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뉴스1

5일 오전 서울의 한 의과대학에서 교수진이 이동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2025학년도 의과대학 정원 신청에 전국 40개 의대가 3,401명의 증원 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뉴스1

의과대학을 둔 전국 40개 대학이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을 총 3,401명 늘려 달라고 신청했다. 정부의 증원 목표치인 2,000명보다 70% 많고, 대학들이 넉 달 전 1차 수요조사 때 제출한 증원 규모 최대치(2,847명)보다도 20% 늘었다. 현재 의대 입학 정원 3,058명을 웃도는 수치이기도 하다. 의사계가 의대 증원 정책에 3주째 반발하고 있지만, 대학들은 1998년 이후 27년 만에 의대 규모를 키울 기회를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5일 중앙안전재난대책본부에 따르면, 의대를 운영하는 40개 대학 모두가 교육부가 제시한 증원 신청 마감일(4일)까지 증원을 신청했으며 신청 인원은 총 3,401명으로 집계됐다.

소재지별로는 비수도권 27개교(전체 의대 67.5%)에서 총 2,471명의 증원 계획을 제출했다. 40개 대학 전체 증원 희망 규모의 72.7%다. 학교별로 정원의 2배 이상, 많게는 5배까지 신청하면서 현재 비수도권 의대 정원(2,023명)보다도 22%가량 많은 신입생을 요청한 것이다. 정부가 지역 거점 국립대와 정원 50인 이하 의대(일명 '미니 의대') 위주로 비수도권 의대를 집중 증원하겠다는 원칙을 밝히자, 지방 의대 운영 대학들이 이번 증원 신청을 학교 위상을 높이고 지역의료 수준 향상 요구에 부응할 기회로 삼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대학 13곳도 현 정원(1,035명)의 89.9%인 930명 증원을 신청했다. 서울 소재 8개교는 365명 증원을, 모두가 '미니 의대'를 운영하고 있는 경인 지역 5개교는 565명 증원을 원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1차 수요조사에서 40개 대학은 내년 의대 신입생 희망 규모를 최소 2,151명, 최대 2,847명으로 교육부에 써냈다. 이날 집계치는 1차 조사 때의 최대치보다도 19.5%가 많다. 전국 의대 학장들이 적정 증원 규모라 주장한 350명(정부안의 17.5%)보다는 10배 가까이 많다.

대학들의 적극적인 의대 증원 호응으로 정부의 정책 추진에도 한층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이날 중대본 브리핑에서 "대학의 신청 결과는 평가인증기준 준수 등 의료교육의 질 확보를 전제로 내년에 당장 늘릴 수 있는 규모가 2,000명을 월등히 상회한다는 것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비수도권 위주 배정 원칙 아래 대학별 제출 수요와 교육역량, 지역 필수의료 지원 필요성, 소규모 의대의 학생 증원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4월 총선 이전에 대학별 정원 배정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의대 구성원들은 대학본부의 증원안 제출에 강력 반발했다. 이날 강원대 의대 교수 10여 명은 학교가 현재 정원의 3배 규모로 증원 신청을 내자 집단 삭발했고, 충북대병원 교수는 사직서를 냈다. 의대 증원 정책에 반대해 집단 수업 거부에 나선 의대생들도 울산대에서 증원 백지화 촉구 성명서를 내는 등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손현성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