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교수협 부회장 "'사직 전에 순직하겠다' 곡소리, 어떤 상황 올지 두렵다"

입력
2024.03.05 11:37
수정
2024.03.05 13:52
구독

김현아 전국 의대 교수협의회 부회장
"기초교육, 이미 무너져… 임상도 문제 많아"
"임상교수 진료 너무 많아… 학생 뒷전"
"의대 교육 현실 알고 증원하는지 의문"
"전공의, 원점 돌아가도 안 돌아올 가능성"

정부가 의료 현장을 집단 이탈한 전공의 7,000여 명에 대한 면허정지 절차에 돌입한 4일 서울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의료 현장을 집단 이탈한 전공의 7,000여 명에 대한 면허정지 절차에 돌입한 4일 서울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전공의 이탈이 지속되면서 그 빈자리를 메우는 교수들의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김현아 전국 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부회장이 "사태가 길어질 때 어떤 상황이 올까 두렵다"며 정부에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김 교수는 5일 KBS라디오 '전종철의 전격시사' 인터뷰에서 "교수들 단체채팅방을 들여다보고 있는데 '이틀 동안 한잠도 못 잤다', '이번 주 근무 100시간이 넘었다', '응급환자 발생했는데 진료 중이라 못 올라가봤다', '사직하기 전에 순직하겠다'고 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정부가 의대 정원을 2,000명가량 늘려도 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있다고 장담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했다. 김 교수는 "의대 교육은 기초, 임상 두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기초교육은 이미 옛날에 무너져 해부나 생리 같은 기초를 가르칠 교수가 없다"며 "임상과정은 교수는 많지만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교수들은 연구와 교육을 위해 진료를 보는 건데, 의대 현실은 거꾸로라 진료업무가 너무 많다. 학생들이 뒷전으로 밀려났다"며 "환자를 잘 보고,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지 배워나가는 과정인데 옛날부터 문제가 많았다"고 말했다.

또 "임상교수 사회도 위기다. 점점 허리가 잘린다고 표현하는데, 젊은 교수들의 이탈이 많다"며 "연구하고 교육하려고 오는 건데 이렇게 많은 환자를 보는 부담을 지워주면 '내가 여기에 있을 이유가 뭐냐'는 거다. 평균연령이 50대인 과도 있다"고 전했다. 이어 "(정부가) 의대 교육 현실을 잘 알고 (2,000명 증원이) 가능하다고 대답하는 건지 의아하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제시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도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김 교수는 "모든 정책이 다 실현됐으면 우리나라는 지상천국이 됐을 거다. 실효성이 없다는 것"이라며 "민간 공공병원을 육성하겠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지역에 있는 중증이 아닌 환자들이 다 KTX를 타고 서울로 올라오는 문제를 어떻게 할 거냐.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의료는 공공자원이라 국가가 책임져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공공병원 부족에서 알 수 있듯 의료 경영의 90%를 사적주체가 해 자본주의 논리로 할 수 없는 소아과 소멸 같은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며 "국가가 책임지고 소아과 진료를 볼 수 있게 책임져야 하는데. (지금의 정책은) 가장 적절한 해법이라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를 원점으로 되돌리더라도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전공의들은 숫자만 늘리면 자영업자처럼 개원하는 게 더 치열해지거나 병원이 사기업처럼 수입을 많이 늘리라고 해 이런 데 가서 혹사당하거나 두 가지밖에 미래가 없다고 보는 것"이라며 "(전공의들이) 미래에 대해 심각하게 숙고했다고 생각한다. 원점으로 돌아와도 많은 사람이 안 돌아오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있다"고 말했다.


윤한슬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