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수술 못 받았나…전공의에 '악마 프레임' 씌운 정부 책임져라"

입력
2024.02.26 14:37
수정
2024.02.26 14:43
구독

서울대 의대 교수협 비대위
"정부·교수 협의체 구성해야"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을 시작한 지 일주일째인 26일 대전의 한 상급병원 응급의료센터에서 의료진이 지나가고 있다. 대전=뉴스1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을 시작한 지 일주일째인 26일 대전의 한 상급병원 응급의료센터에서 의료진이 지나가고 있다. 대전=뉴스1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집단 사직한 전공의 복귀를 위해 협박이나 강제가 아닌 설득이 필요하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26일 오전 7시 30분부터 비공개 회동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날 회동에는 20여 명의 전공의와 교수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비대위는 이날 성명에서 “전공의들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현장을 떠나고 있는 것이며, 제자들에 대한 정부의 조치가 법률적으로 부당할 경우 우리도 사법적 위험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정진행 서울대 의대 교수협 비대위원장은 성명 발표 후 취재진과 만나 전공의 집단사직에 대한 정부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다.

정 위원장은 “필수의료 체계를 감당하는 교수들이 병원에서 연속 160시간 근무하면서 책임지고 있다”며 “우리 국민 중 응급실 못 가는 분 계시느냐. ‘의료대란’ 일어났다고 부추기는 정부와 언론은 반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암 환자의 수술이 연기되는 등 불안이 커진다는 지적에는 “암 수술은 본래 응급수술이 아니라 예정된 수술”이라며 “여러 가지 검사 등 단계를 밟아가는 것이고, 응급은 당장 수술ㆍ처치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반박했다.

정진행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 의대에서 전공의들과 긴급 회동을 마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진행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 의대에서 전공의들과 긴급 회동을 마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 위원장은 또 “의사는 노예가 아니다”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계속 얘기하는데, OECD에 비해 너무 지나치게 의료 쇼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의대 증원 수요조사에 대해서도 “의대 증원은 과학적 시뮬레이션과 부작용 등을 다 고려해야지, 희망을 조사해선 안 되는 거다”라며 “대통령한테 (의대 정원) 부족하다고 보고 올린 그 라인도 당장 문책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정부가 전공의들에게 29일까지 복귀하면 문책하지 않겠다고 밝히자 정 위원장은 “(전공의들이) 무슨 책임이 있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전공의들에게 ‘악마 프레임’을 씌운 데 대해 정부가 책임지라”며 “책임은 잘못한 사람에게 묻는 것이다. 그 말 거둬달라. 사죄해달라”고 항의했다. 아울러 “정부에서 내뱉는 ‘법정최고사형’ 등 위헌적 발언을 전공의에 대한 협박죄, 모욕죄로 고발할 것”이라고도 했다.

비대위는 이날 성명에서 “정부는 의대 교수들과 소통 채널을 만들고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정기적으로 만나서 대화하기를 요청한다”며 “실질적인 협의는 4월 총선 이후로 연기하는 대신 그동안 의제 설정과 기본적인 상호 의견교환을 지속할 것을 제안한다”고 촉구했다.

윤한슬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