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 변동 폭 클수록 심정지 발생 위험 높아

입력
2024.02.25 08:10
20면
구독

[건강이 최고] 하루 변동 폭 60㎜Hg 이상이면 병원 검사받아야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차가 클수록 심정지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게티이미지뱅크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차가 클수록 심정지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게티이미지뱅크

혈압 변동성이 클수록 심정지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즉, 고혈압이 아니더라도 일정 시간에 걸쳐 혈압이 급격히 변동하는 것만으로도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윤기·최종일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혈압 변동성과 급성 심정지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최근 실렸다.

연구팀은 2009∼2011년 국가건강검진 수검자 가운데 2018년까지 추적 관찰이 가능한 280만1,153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혈압 변동과 건강검진 기록 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2년 새 수축기(최고) 혈압이 40㎜Hg 이상 높아진 사람에게 향후 급성 심정지가 발생할 위험은 같은 기간 혈압 변동이 없었던 사람보다 88%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또한 이완기(최저) 혈압이 25㎜Hg 증가했을 때도 급성 심정지가 발생할 위험은 61% 상승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혈압이 증가한 정도와 급성 심장사 위험도가 선형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했다. 2년 새 혈압이 더 많이 높아진 사람일수록 급성 심장사 발생 위험이 이에 비례해 높아졌다는 뜻이다.

또한 혈압이 일시적으로 다시 낮아진다고 해도 급성 심정지 발생 위험은 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 주목된다.

연구팀은 “급격한 혈압 상승으로 심혈관계가 손상되면 그 이후 혈압이 떨어져도 일정 부분 원상태로 회복될 수 없는 비가역적인 상황이 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했다.

한편, 국내 급성 심정지 환자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통계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2022년 상반기에만 1만7,668명의 급성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다. 이 중 생존 상태로 퇴원한 환자(생존율)는 7.3%에 불과했다.

급성 심정지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혈압 관리가 꼽힌다.

고혈압 진단을 받았다면 조기에 약물 치료 등으로 혈압을 낮추고, 싱겁게 먹는 등 적절한 식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대한고혈압학회의 ‘2022년 고혈압 진료 지침’에 따르면, 고혈압은 140/90㎜Hg 이상(가정 혈압의 경우 135/85㎜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정상 혈압은 120/80㎜Hg 미만이다. 120~129/80㎜Hg 미만일 때는 ‘주의 혈압’, 130~139㎜Hg(최고 혈압) 혹은 80~90㎜Hg(최저 혈압)은 ‘고혈압 전 단계’로 분류된다. 혈압이 평소 160/100㎜Hg 이상으로 매우 높다면 전문의에게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환자가 집에서 직접 잰 혈압(가정 혈압) 수치를 기록해 의료인과 상담하는 것도 중요하다. 수축기 혈압 135㎜Hg 이상, 이완기 혈압 85㎜Hg 이상이 반복되거나, 하루 혈압 변동 폭이 60㎜Hg 이상이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