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미국, 우크라 장기 지원 새 전략 구상… ‘영토 탈환’은 뺐다”

입력
2024.01.27 19:00
구독

WP “바이든 행정부, 올봄 ‘10년 계획’ 발표 계획”
지난해 대반격 성과 없어 ‘전략 수정’ 불가피 판단
“전장서 방어 지원에 무게… 우크라도 수용할 듯”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12일 미 워싱턴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서 회담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12일 미 워싱턴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서 회담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2022년 2월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다음 달로 개전 2년을 맞는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대(對)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한 장기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에 빼앗긴 영토 탈환’이라는 기존 목표 대신, 러시아의 추가 전진을 막는 ‘방어전 지원’ 쪽으로 무게 중심을 옮기려 한다는 것이다.

“올해는 작년 같은 대반격 불가능”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복수의 미 정부 당국자를 인용해 “바이든 행정부는 올해 우크라이나의 전쟁 성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국무부가 새 전략을 반영한 우크라이나 지원 10년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여름부터 이뤄진 우크라이나의 대반격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기 때문에 전략 변경이 불가피하다는 게 미국 정부 판단이라는 얘기다.

바이든 행정부의 한 고위 관리는 신문에 “우크라이나가 지난해 시도했던 대반격을 올해엔 모든 측면에서 추진하기 힘들 게 분명하다”고 말했다. 다른 고위 당국자도 “현재 구상은 우크라이나가 전장에서 지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지만, 올해 말까지 전투력을 강화해서 (전쟁을) 다른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하고 지속 가능한 경로로 이동하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WP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올봄 발표를 목표로 새 우크라이나 지원 계획안을 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략적인 얼개는 △전투(fight) △전략 구축(build) △복구(recover) △개혁(reform) 등 4단계로 이뤄져 있다. 우선 포탄과 드론 등 지원량을 늘리면서 방공 시스템을 강화(전투)하고, 우크라이나 육해공 미래 안보를 약속하는 한편 방위산업도 육성(전략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지난 14일 남동부 자포리자 지역에서 M777 곡사포 사격 준비를 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지난 14일 남동부 자포리자 지역에서 M777 곡사포 사격 준비를 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이에 더해 우크라이나 도시를 보호하고 철강·농업 등 주요 산업을 회복하는 방안(복구), 외국인 투자 유치를 통한 부패 근절 방안(개혁)도 새 전략에 담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는 의회에 계류 중인 610억 달러(약 80조2,000억 원) 규모의 우크라이나 지원안 통과를 전제로 한다고 WP는 전했다.

“서방 결의 다져야 푸틴도 ‘완승’ 포기” 우려도

우크라이나도 미국의 전략 수정을 사실상 수용하는 분위기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공식 석상에선 여전히 ‘올해 계획은 단순한 방어가 아니다’라는 입장을 보인다. 그러나 최근 젤렌스키 대통령을 사석에서 만난 미국 정부 인사들은 ‘미국의 지원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그도 우크라이나가 얼마나 공세적 태세를 취할 수 있을지 의문을 갖고 있다’는 취지로 신문에 말했다.

물론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방어만을 주문하며 ‘뒷짐’을 지겠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게 미 정부 인사들의 전언이다. 한 당국자는 “소도시와 마을 등에서 영토 수복 시도가 있을 것”이라는 취지로 말했다. 그럼에도 우려는 나온다고 WP는 짚었다. 유럽의 한 국가 고위 관리는 “장기적으로는 물론이고, 매우 중요한 (전황) 국면에서 미국이 관여하고 리더십을 보이는 건 아주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방국들이 결의를 다져야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완전한 승리’란 불가능하다는 걸 깨달을 수 있고, 전쟁 종식을 위한 종전 협상도 가능해진다는 이유다.

김정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