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진 결혼·초산 연령 때문? 자궁근종 꾸준히 증가

입력
2024.01.16 21:55
구독

[건강이 최고] 20~40대 가임기 여성 3명 1명에게 발생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자궁근종은 자궁 내 근육 세포가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등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양성 종양이다. 20~40대 가임기 여성에게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종양이다.

나이가 들수록 점점 많이 발생한다. 20대에 10% 정도 발생하다가 폐경 직전인 40대에는 40~50%가 노출될 정도다. 가임기 여성 3명 중 1명 정도에서 발생할 정도로 아주 흔하다.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전자 이상과 호르몬 영향으로 추정되며, 폐경 후에는 더 이상 커지지 않거나 크기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황우연 경희대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2002~2013년 전체 가임기 여성의 자궁근종 유병률은 0.62%에서 2.48%로 4배 증가했다”며 “11년 간 추적 관찰한 결과 35~39세, 40~44세 연령군의 11년 누적 발생률은 각각 22.3%, 21.8%로 매우 높았다”고 했다.

자궁근종이 늘어난 이유로 늦어진 결혼 연령과 초산 연령이 꼽힌다. 황우연 교수는 “만혼과 첫 출산 나이가 늦어지면서 자궁근종이 늘어나고 있다”며 “30대 후반부터 자궁근종 검진을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자궁근종이 생기는 위치는 3곳이다. ①자궁 내막 근처에서 발생하는 ‘점막하 근종’이다. 자궁 내막은 생리가 만들어지고 임신했을 때 배아가 착상하는 곳으로, 이곳에 근종이 생기면 월경 과다·비정상 출혈·과다 출혈에 의한 빈혈·불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크기가 커지면서 점차적으로 생리량이 많아지거나 생리 기간이 길어질 수 있고, 생리 때가 아닌데 피가 나기도 한다. 이렇게 출혈이 많아져 빈혈이 생기면 어지럼증과 심한 피로감 등을 느낄 수 있다.

정인철 대전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생리량이 많은 날이어도 하루 6번 이상 생리대를 바꾸거나 잠을 잘 때 생리량이 생리대가 넘칠 정도라면 검사해야 한다”며 “점막하 근종이라면 자궁근종이 이물질처럼 인식해 생리 중에 밀어내어 제거하려고 애쓰면서 생리통이 심해지기도 한다”고 했다.

②자궁 근층에 발생하는 ‘근층 내 근종’이다. 일반적으로 증상은 가장 적은 근종이지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위치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질 때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자궁 내막을 침범하면서 점막하 근종 같은 증상이 나타나거나 생리통이 나타날 수 있다.

③자궁 장막층 아래에 생기는 ‘장막하 근종’이다. 장막하 근종은 자궁 바깥을 향해 자라는 특성이 있어 복부 팽만이 느껴지기도 한다. 또 가까운 장기인 방광을 누르면 소변을 자주 보고, 직장 쪽에 위치하면 변비가 생기기도 한다.

자궁근종 치료는 크기ㆍ증상 유무ㆍ임신 계획 등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증상이 가볍거나 없다면 치료보다 경과 관찰을 택하기도 한다. 그러나 자궁근종 크기가 커지거나 많아질 수 있어 6개월 간격의 정기검진이 필요하다.

공미경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과다한 생리량ㆍ빈혈 등 불편이 생기면 자궁 내 피임 장치 등을 통해 생리량을 조절할 수 있다”고 했다. 공 교수는 “수술법으로는 자궁근종절제술ㆍ자궁적출술이 있고, 수술하지 않으려면 자궁동맥색전술 등 시술도 가능하다”고 했다.

이 밖에 비침습적 치료인 고강도 초음파 집속술(HIFU)이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황우연 교수는 “HIFU(하이푸)는 돋보기로 태양열을 모아 종이를 태우듯 고강도 초음파를 이용해 자궁근종만 제거하는 방식”이라며 “전신마취나 절개 없이 시행되기에 당일 시술 및 퇴원으로 일상생활 복귀가 바로 가능해 로봇 수술처럼 환자 선호도가 높다”고 덧붙였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