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수면장애=질환' 인식해야…지난해 110만 명 가까이 치료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수면은 일상생활로 지친 신체 기능을 회복시키고 새로운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면은 뇌 활동으로 이뤄지지만 신체의 생리학적 변화와도 연관돼 있다.
수면이 부족하거나 질이 떨어지면 우울증·불안증 같은 정신 건강 질환은 물론 신체 면역 기능과 자율신경계 이상으로 일상에 지장을 불러오고 다양한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최윤호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과 교수는 “좋은 수면은 삶의 질을 높이고 각종 질병을 예방한다”며 “잠이 보약이라는 말이 허투루 나온 게 아니다. 잠을 잘 자야 그만큼 건강한 삶과 몸을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개한 2018~2022년 수면장애 환자 건강보험 진료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109만8,819명으로 4년 전인 2018년 85만5,025명보다 28.5% 늘었다.
2022년 연령대별 환자 비율은 60대가 23.0%(25만2,829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 18.9%(20만7,698명), 70대 16.8%(18만4,863명) 순이었다. 60대에서 수면장애가 많이 나타난 이유로는 노화로 인한 생리적 변화, 은퇴 등 일상의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 등이 꼽혔다.
수면장애는 잠을 준비하는 시간부터, 잠자는 동안, 그리고 수면 뒤 생활에 이르기까지 수면과 관련돼 나타나는 모든 문제를 뜻한다. △불면증 △기면증(嗜眠症) △코골이·무호흡 등 수면 관련 호흡장애 △몽유병·렘(REM)수면행동장애 등 사건 수면 △하지불안증후군으로 대표되는 수면 관련 운동장애 등이 포함된다.
최윤호 교수는 “수면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를 질환으로 인식하고 병원을 찾아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수면장애는 원인과 형태가 다양해 특정 증상만으로 문제를 진단하기 어렵다. 정밀한 검사와 진단을 통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수면장애 진단은 먼저 철저한 병력 청취와 문진(問診), 신경학적 진찰이 이뤄진다. 이후 시행하는 각종 질문지·수면 일기 등을 통해 잠정 진단을 확인하고 검증한다. 또한 기타 수면 질환 여부와 확진을 위해 수면 다원 검사를 진행하기도 한다. 수면 다원 검사는 검사실에서 하룻밤 자면서 수면의 단계, 각성, 호흡, 맥박, 코골이 등 다양한 정보를 살피는 검사다.
아울러 사건 수면 감별을 위해 비디오 뇌파 모니터링 검사를 추가하기도 하고, 기면증 등 과다 수면에 대한 진단을 위해 낮잠을 시도하는 다중 수면 잠복기 검사를 진행하기도 한다.
수면장애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진행된다. 가장 흔한 불면증의 경우 수면에 대한 이해와 잘못된 수면 습관을 교정하는 인지 행동 치료가 기본이다.
전문의와 상의해 수면제를 적절히 사용하기도 한다. 수면무호흡증은 체중 감량, 금주, 옆으로 누워 자기 등 행동 교정을 선행하고 필요에 따라 수면 양압기 치료를 시행한다.
양압기는 안전하게 사용만 잘하면 90% 이상의 높은 치료 성공률을 보인다. 일부 환자에서는 수술과 구강 내 장치 등 특수치료법을 활용하기도 한다.
잠들기 전 다리에 불편감이나 고통스러운 감각 증상이 나타나는 하지불안증은 대체로 뇌의 도파민계 이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도파민작용제 등 약물 치료를 통해 개선할 수 있다.
몽유병·야경증 등 수면 도중 이상 행동은 뇌전증(腦電症) 감별이 필요하고 잠꼬대가 심하거나 과격한 행동을 하는 렘수면행동장애는 치매·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 질환의 선행 또는 동반 증상일 수 있어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
건강한 수면을 위해서는 올바른 수면 습관을 가져야 한다. 먼저 정해진 시간에 잠들고 일어나는 규칙적인 수면이 가장 중요하다.
수면 환경은 조용하고 너무 춥거나 덥지 않게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낮잠은 되도록 피하고 자더라도 15분 이내로 제한하고, 햇빛이 비치는 낮 시간대에 30분에서 1시간 정도 규칙적인 운동은 숙면에 도움이 된다.
또한 카페인이 든 음료나 음식, 잠자기 전 흡연이나 음주는 삼가야 한다. 특히 음주는 수면을 유도하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잠자는 도중 자주 깨게 하고 수면무호흡증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저녁에는 과식하지 않고 적당한 수분 섭취를 해주는 것이 좋다. 잠자리에서 독서나 TV 시청 등 다른 활동도 건강한 수면에 좋지 않다.
최윤호 교수는 “대다수 사람이 흔하다는 이유로 수면장애 증상을 방치하는 경향이 있다. 수면은 우리 몸의 수많은 생체리듬 중 하나로 건강한 수면을 취하지 못할 경우 몸의 회복 시스템을 망가뜨리고 일상생활을 무너뜨릴 수 있다”며 “올바른 생활 습관을 통해 수면장애를 예방하고 수면 건강에 관심 가져야 한다”고 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