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겨울철 참을 수 없는 가려움 유발 주범, '건선' '피부건조증' 헷갈리지 마세요

입력
2023.12.02 06:40
구독

[건강이 최고] 붉은 반점?은백색 비늘 ‘건선’, 면역학적 만성질환 지속 관리해야
가려움증?하얀 각질 ‘피부건조증’, 피부 보습 중요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추워진 날씨에 바람도 차가워졌다. 체내 수분이 적고 피지 분비 기능이 떨어진 40~50대에겐 겨울은 가려운 계절이다.

피부는 각질층을 통해 수분을 유지하는데 건조해 습도가 떨어지면 각질이 들뜨고 갈라지기 때문이다. 겨울철 가려움을 유발하는 피부병은 무엇일까. 혹시 피부 난치병이라 불리는 ‘건선’일까 아니면 단순한 ‘피부건조증’일까.

겨울철 많이 발생하는 두 질환, 어떻게 다른지 권순효 강동경희대병원 피부과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면역학적 만성질환 '건선'

'건선(乾癬·psoriasis)’은 피부가 건조해 발생하는 단순 피부 질환으로 오해받지만, 면역학적 만성질환이다. 당연히 전염성은 없다.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유전적 소인이 있는 환자에게 외상이나 감염과 같은 환경적 자극이 발생하면 건선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건선학회에 따르면 건선은 전 세계적으로 3%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와 비슷한 1~2% 유병률인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국내 건선 환자는 2022년 15만4,399명으로, 전체 환자 중 68%가 활발하게 사회 활동을 하는 20~50대에서 발병하고 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선은 주로 팔꿈치·무릎·엉덩이·머리에 경계가 명확한 붉은 반점과 함께 은백색 비늘로 덮이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생긴 발진은 주위에 생긴 발진과 합쳐져 점점 커지면서 퍼져나간다. 은백색 비늘은 긁을 때나 옷을 벗을 때 비듬처럼 후드득 떨어지기도 한다. 특히 추워지면 증상이 심해진다.

건선은 증상이 평생 악화와 호전을 반복한다. 건선을 잘 치료하다가도 증상이 완화되면 다 나았다고 생각하고 방치해 병을 키울 때가 많다.

권순효 교수는 “건선의 치료 목적은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건선 병변을 정상화하고 이를 오래 유지하는 것”이라며 “지속적인 피부 및 건강 관리로 건선 병변이 없는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했다.

피부과 전문의를 통해 건선으로 진단받으면 환자는 1차적으로 증상에 따라 병변 부위에 스테로이드제·비타민 D 유도체·보습제 등을 바르거나 광선 치료 등을 시행한다.

증상이 심하면 면역억제제 등을 사용하는데, 그런데도 반응이 충분하지 않은 중증 건선 환자는 생물학적 제제(주사제)를 통해 건선을 관리한다.

강동경희대병원 제공

강동경희대병원 제공


◇건조한 겨울철 중·장년층에 많이 발생하는 ‘피부건조증’

피부건조증이란 피부 수분과 지질(기름막)이 줄면서 피부에 하얀 각질 등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겨울에 춥고 건조해 피부 신진대사가 떨어지고, 실내도 난방으로 고온 건조하면 피부를 통해 빠져나가는 수분량이 많아져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고 거칠어지면서 발생한다.

중·장년층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데 55세를 넘으면 피부 장벽의 회복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주거 환경 변화로 인한 과도한 난방·잦은 목욕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젊은 층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피부건조증은 주로 팔‧다리 폄 부위, 골반 및 허리, 옆구리, 손등, 정강이 등에 발생한다. 피부건조증이 발생하면 피부가 당기는 느낌이 들고 가려움증이 동반되는데, 가렵다고 긁으면 피부 상처가 발생한다. 심하면 붉은 반점(홍반)이 심해지고 붓고 진물이 나는 ‘건성 습진’으로 악화할 수 있다.

피부건조증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치료는 염증 유무로 달라지는데, 염증 소견 없이 건조한 피부만 있다면 보습제를 자주 발라도 증상이 개선된다.

목욕 기름과 오트밀 팩도 도움이 되는데, 목욕 후 3분 이내 즉시 충분한 양을 바르는 게 좋다. 그러나 피부가 갈라지고 가려움증이 생겼다면 가려움증을 완화해주는 항히스타민제를 먹고 병변 부위에 국소 스테로이드제를 함께 사용한다.

피부건조증은 건선과 달리 적절한 보습과 적절한 실내 환경을 마련하면 예방할 수 있다. 난방으로 건조하면 가습해 50~60% 습도를 유지하고, 실내 온도는 변화는 크지 않도록 한다.

목욕은 시간과 횟수를 줄이며 약산성 세정제를 사용하고, 너무 뜨거운 물 사용을 피하는 게 도움이 된다. 권순효 교수는 “알코올과 카페인은 신체 수분을 배출하는 기능이 있다”며 “알코올·카페인 섭취를 줄이는 것도 피부건조증 예방에 도움될 수 있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