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연시 특히 주의해야 할 '이 질환'…음주·흡연 함께하면 발병률 35배

입력
2023.11.11 17:50
수정
2023.11.11 17:55
구독

[건강이 최고] 두경부암, 최근 10년 새 환자 31% 증가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두경부암은 구강·인두·후두 등 상기도 소화관에 발생하는 모든 악성 종양을 말한다. 두경부암에 노출되면 음식을 먹는 것, 말하는 것, 숨 쉬는 것 등 일상생활에서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두경부암의 주요 위험 인자는 음주와 흡연이다. 음주와 흡연 기회가 많아지는 연말연시에 두경부암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60만여 명의 두경부암 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증가세가 뚜렷한데 최근 발표된 ‘2020년 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 두경부암으로 새로 진단된 환자는 5,666명이다.

이는 2016년 5,080명 대비 최근 5년간 12% 상승했다. 2011년 4,320명 대비 최근 10년간 31% 상승했다. 전체 두경부암 유병자도 4만6,694명에 이른다.

두경부암은 음주와 흡연을 같이하면 발병할 위험이 35배 이상 높아진다. 2016년 국제 학술지 ‘유럽역학저널(Europe Journal of Epidemiology)’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1982~2000년 이탈리아·스위스에서 두경부암 환자 1,569명과 대조군 3,147명을 분석한 결과, 음주와 흡연을 모두 하는 사람은 둘 다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두경부암 위험이 35배 높았다.

박일석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음주와 흡연은 구강암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며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남성의 경우 2배, 여성의 경우 3배 구강암 발생률이 높다”며 “음주력이 있어도 구강암 발병률이 1.7배 높은데, 술은 많이 마실수록, 위스키 등 알코올 도수가 높을수록 발병 위험이 더 높아진다”고 했다.

두경부암을 조기 발견하면 완치율이 높기에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구강이나 혀에 보이는 궤양이나 뭉쳐 있는 덩이가 관찰되면 구강암이나 설암을 의심할 수 있다. 또한 이물감·목소리 변화·쉰 목소리가 발생해도 후두암을 의심해야 한다.

특히 50대 이상 흡연자에게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면 이비인후과를 찾아 검진을 받는 게 좋다.

실제 2020년 발생한 두경부암 환자를 보면 50대부터 급격히 증가해 50대 이상이 85%였고, 연령대별로는 60대가 30%로 가장 많았다.

또한 두경부암은 목 주위 림프절에 전이하는 특성이 있어 목에 동그란 덩어리가 만져진다면 이런 증상이 없더라도 이비인후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박일석 교수는 “구강이나 혀에 궤양이 생기거나 목소리 변화·이물감·목에 만져지는 덩이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이비인후과를 찾아 후두 내시경검사를 받아야 두경부암을 조기 발견해 치료할 수 있다”고 했다.

두경부암을 성공적으로 치료해도 구강의 기능적 장애가 남을 수 있으므로 두경부 영역에서 치료하기 힘든 질환 중 하나다. 암 크기와 침범 범위, 환자 상태, 의사 경험, 환자 치료 순응도에 따라 치료를 결정한다.

박일석 교수는 “두경부암 치료는 정상 기관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암을 제거하는 수술을 한 뒤 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방사선과 항암 치료를 병행한다”며 “최근에는 로봇 수술을 이용해 입 안이나 겨드랑이, 귀 뒤쪽을 작게 절개해 수술하는 방식으로 흉터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했다.

두경부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금연과 금주를 해야 한다. 40대 이상 흡연자라면 1년에 한 번씩 두경부암 검진을 받는 게 좋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