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또 교사 2명 사망... 연가집회 엄단한다고 될 일 아니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현직 초등학교 교사 2명이 또 숨졌다. 학생과 교원 등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이어진 비보에 교직사회는 다시 한번 크게 술렁인다. 그런데도 정부는 서이초 교사 49재를 맞아 오늘 예고된 ‘공교육 멈춤의 날’ 추모행사를 두고 엄정 대응 방침만 되풀이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아파트에서 추락해 숨진 서울 양천구 초등학교 교사(39)는 올해 6학년 담임을 맡은 후 정신적으로 힘들어하며 연가, 병가, 질병휴직 등을 썼다고 한다. “학생들이 생활지도에 따르지 않아 큰 어려움을 겪었다”는 얘기가 나온다. 1일 숨진 채 발견된 전북 군산의 초교 6학년 담임교사(38)는 교원 등 학교 관계자와의 갈등으로 스트레스를 겪어왔다고 한다. 명확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겠지만 모두 개인적 사안으로 치부할 수는 없어 보인다.
서이초 교사 사망 후 매주 토요일 열려온 교사집회엔 그제 주최 측 추산 30만 명이 참여했다. 지난 7차례 교사집회 중 가장 많았던 전주(6만 명)와 비교해도 5배에 달한다. 고인 사망에 대한 진상 규명과 교권 보장 입법이 더딘 상황에서 또 다른 죽음이 추모 열기에 불을 지핀 셈이다.
여기엔 연일 '공교육 멈춤의 날' 집회에 대해 엄단만을 강조하는 교육부를 향한 불신과 반감도 깔려 있을 것이다. 교육부는 집단으로 연가·병가를 쓰거나 재량휴업 강행 시 우회파업으로 보고 최대 파면·해임의 중징계는 물론 형사고발까지 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하지만 교사들이 오죽하면 연가까지 쓰려는지 그 취지를 살폈으면 한다. 제주에서, 또 지방에서 휴일까지 반납하고 집회에 참석하는 교사들에게서 절박함이 느껴지지 않는가. ‘교육은 하루도 멈추면 안 된다’지만, 학생들의 수업권은 일정 조정 등으로 얼마든지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정부가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교사들의 억울한 죽음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추모집회의 물리적 대응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교사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부족한 해법들을 메워나가길 바란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