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악훈련·새벽운동 부활하고, 와이파이까지 금지... 아시안게임 훈련에 '올인'

입력
2023.08.24 17:20
수정
2023.08.24 17:56
23면
구독

24일 충북 진천국가대표선수촌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D-30 미디어데이에서 장재근 선수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4일 충북 진천국가대표선수촌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D-30 미디어데이에서 장재근 선수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충북 진천 국가대표 선수촌이 팽팽한 긴장감으로 가득 차 있다. 30일 앞으로 다가온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위한 마지막 담금질에 집중하기 위해 새벽 운동과 산악 훈련을 부활한 데 이어 심야시간 인터넷까지 차단하는 등 선수촌 내 규율을 강화했다.

장재근 진천 국가대표 선수촌장은 24일 D-30 미디어데이에서 "이제 개막이 얼마 남지 않아 매일같이 떨린다"며 "그동안 대회를 준비하면서 선수들의 정신력을 강화하기 위해 훈련 시스템에 여러 가지 변화를 줬다"고 밝혔다.

대한체육회는 이번 대회에서도 목표는 종합 3위를 제시했지만, 일본과의 격차를 줄이고 선수단의 경기력을 반전시키겠다고 다짐했다.

장 촌장은 이날 달라진 선수촌 분위기를 소개했다. 그동안 자율에 맡겼던 새벽 훈련의 의무화가 그 첫 번째다. 장 촌장은 “새벽 훈련을 선수 자율에 맡겼지만, 지금은 의무적으로 전원이 참여하고 있다”면서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것과는 관계없을지 몰라도, 집중력을 높이고 마음가짐을 다잡는 데는 도움이 될 거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태릉 선수촌 시절 2주에 한 번씩 하던 단체 산악 훈련도 부활했다. 장 촌장은 "태릉 시절에 가졌던 메달을 향한 집념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자정부터 새벽 5시까지 와이파이를 차단했다. 선수들의 효율적인 휴식을 위해서다. 장 촌장은 "요즘엔 1인 1실이라 선수들이 방에 있으면 일일이 체크할 수 없다. 선수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다가 다음 날 훈련에 지장이 생기면 안 돼 새로운 규정을 만들었다"며 "아시안게임을 준비하는 기간에 한시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대회 종료 후 유지 여부를 재고할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24일 충북 진천 국가대표 선수촌에서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 D-30 미디어데이에서 브레이킹 국가대표 김헌우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24일 충북 진천 국가대표 선수촌에서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 D-30 미디어데이에서 브레이킹 국가대표 김헌우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규율이 강화된 환경이 가장 낯설 선수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브레이킹 종목 국가대표 김헌우일 것이다. 스스로도 “자유롭게 살아왔다”고 밝힌 김헌우는 이날도 ‘힙합 전사’답게 양쪽 귀에 귀고리를 한 채 기자회견장에 나왔다. 하지만 그는 “새벽 운동을 포함해 여기에 있는 단체라면 당연히 받아들여야 할 의무라고 생각한다. 아침부터 체조를 하며 춤을 추는데 분위기 메이커가 되어 이끌고 있다”면서 “그동안 자유롭게 살아왔지만 우리도 이 안에서는 스포츠인으로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결의를 다졌다.

진천 = 김기중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