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상했다. 이로써 현지 기준금리 밴드는 5.25~5.50%로 높아졌다. 현재 3.50%인 우리 기준금리와의 차이는 최대 2.00%포인트까지 벌어져 ‘금리 역전’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게 됐다. 연준은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빚어진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지난해 3월 이래 10차례 연속 금리 인상에 나서 15개월 동안 금리를 무려 5.25%포인트나 끌어올렸으나, 지난 6월엔 인상 행진을 일단 멈췄다.
당시 미국 긴축이 최종 국면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대두됐다. 물가 상승세 둔화와 내년 초 경기침체 가능성 등이 금리 인상 중단 배경으로 꼽히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미국 경제지표 개선세는 견고한 반면, 물가 상승세가 꺾이지 않아 분위기가 반전됐고, 연준의 금리 인상 재개도 널리 점쳐졌다. 연준은 성명에서 “최근 경제활동은 완만하게 확장하고 있다”고 진단한 반면, “물가 상승 수준은 여전히 높다”고 밝혀 추가 인상 가능성까지 열어뒀다.
그럼에도 이번 금리 인상은 '긴축의 막바지'라는 점에서 당장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주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27일 환율,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입, 금융시장 등의 영향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최근 우리 금융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된 모습”이라며 한미 금리차 확대에 짐짓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은행으로서는 한미 금리차와 여전히 3%에 육박하는 국내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해 향후 동반 금리 인상에 나설 수도 있다. 특히 이창용 한은 총재는 7월 금리동결 직후 가계부채 증가세에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다만, 긴축을 이어가는 미국·유럽과 달리, 중국·일본 등 주변국은 경기활성화를 위한 실질적 금융완화책을 쓰고 있는 현실도 참고할 필요가 크다. 우선은 내외금리차 확대 등 불안요인이 커진 건 현실인 만큼, 금융시장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위기 대응체제를 든든히 정비해둬야 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