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노래방 열창 후 쉰 목소리가 지속된다면…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노래방 등에서 실컷 노래를 부른 뒤 목이 일시적으로 쉴 순 있지만 몇 주가 지나도 쉰 목소리가 지속된다면 신체에 다른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목소리는 성대 표면을 이루고 있는 점막의 진동과 마찰로 인해 발생한다. 일정기간이 지나도 쉰 목소리가 호전되지 않는다면 성대 점막에 비정상적인 병변이 있는지 검사해야 한다.
목소리가 쉬거나 변하는 대표적인 원인들을 한승훈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에게 알아본다.
흔히 발생하는 후두 양성 점막 질환이다. 성대 결절은 지속적인 음성 남용이나 무리한 발성으로 생긴다. 태권도장을 다니는 취학 전 남자 어린이나 교사, 가수 등에게서 많이 생긴다.
성대에서 강하게 반복되는 진동으로 성대점막이 자극을 받으면 섬유질이 침착되고 성대 점막 비후(肥厚)와 변성이 발생해 단단한 결절 모양의 병변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결절이 성대 진동을 방해해 쉰 목소리가 나온다. 초기 음성 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로 대부분 호전되지만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음성 장애가 있으면 수술하기도 한다. 어린이에게서 성대 결절이 생기면 음성 치료 효과가 우수하며, 원칙적으로는 수술하지 않는다.
성대 결절과 비슷해 감별이 필요한 쉰 목소리의 원인 중 하나다. 성대 폴립은 성인 후두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이다.
노래방에서의 열창 등 과격한 발성과 지속적인 흡연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성대 결절과 비슷하지만 성대 폴립은 과도한 성대 마찰로 발생한다.
미세 혈관이 파열돼 점막 안쪽 공간에 피멍울인 혈포가 형성되고, 혈포가 장기간 흡수되지 않으면 반투명한 돌출된 덩어리인 폴립을 형성한다.
한승훈 교수는 “성대 폴립의 경우 과도한 발성 후 조기에 안정을 취하면 회복될 수 있지만 자극이 만성적으로 반복되면 섬유화로 진행할 때가 많다”며 “성대 폴립은 성대 결절과 달리 초기 형성된 폴립이라면 단기적으로 음성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지만 대부분 수술해야 한다”고 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쉰 목소리가 악화되고, 흡연ㆍ음주력이 있고, 고령이라면 후두암 가능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후두암은 머리와 목 부위에서 발생하는 암 중에 두 번째로 발생 빈도가 높은 암이다. 한승훈 교수는 “2주 이상 쉰 목소리가 지속되고 삼킬 때 이물감이 느껴진다면 이비인후과 전문의 진료가 필요하다”며 “후두암은 조기 발견해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등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면 5년 생존율이 90% 이상으로 치료 성적이 우수하기에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고 했다.
쉰 목소리로 이비인후과를 찾으면 의사가 후두 내시경을 통해 직접 눈으로 성대를 관찰한다. 추가로 후두 진동 검사ㆍ공기 역학적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음성 치료는 발성과 관련된 일련의 행동 교정 치료다. 일반적으로 주 1~2회, 30~40분 동안 필요한 횟수를 시행하게 된다. 수술적 치료는 전신마취로 환자 호흡을 유지하며, 현미경과 미세 기구를 이용해 정상 성대 점막을 최대한 유지하며 병변을 제거한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