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마이크론 불매 美에 반격…격화한 ‘칩워’ 대비하고 있나

입력
2023.05.23 04:30
27면

미국 버지니아주 매너사스에 있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자동차 칩 제조 공장. 중국은 사이버 안보 심사 결과, 심각한 보안 문제가 발견돼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AP 연합뉴스

미국 버지니아주 매너사스에 있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자동차 칩 제조 공장. 중국은 사이버 안보 심사 결과, 심각한 보안 문제가 발견돼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AP 연합뉴스

중국이 결국 미국 반도체기업 마이크론에 구매 중단 조치를 내렸다.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21일 미국 주도로 중국의 ‘경제적 강요에 대한 조정 플랫폼’ 창설을 선언하자 기다렸다는 듯 보복에 나섰다. 미중 반도체 전쟁의 신호탄이 쏘아 올려지면서 세계 반도체 시장도 격변이 예상된다.

G7은 공동성명에서 “광범위하고 불투명한 산업보조금, 국영기업의 시장왜곡, 강제 기술이전 요구 등 비(非)시장 정책에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중국의 경제보복뿐 아니라 희토류 등 자원무기화 등에 전방위 대응한다는 것이다. 이에 중국은 즉각 “마이크론의 심각한 네트워크 보안 위험이 발견됐다”며 핵심정보 인프라의 구매 중단이란 첫 대응조치를 발표했다.

당장 마이크론은 작년 308억 달러 매출의 25%를 중국, 홍콩에 의존해 타격이 불가피하다. 더구나 중국 조치는 퀄컴 브로드컴 인텔 등에도 경고한 것이라 불안감은 업계 전반에 퍼져 있다. 미국은 앞서 작년 10월 중국 최대 반도체 기업 양쯔메모리테크를 블랙리스트에 올리는 등 광범위한 수출규제를 도입했다.

본격적인 미중 반도체 전쟁에 낀 한국은 기업마저 선택을 강요받는 처지다. 중국은 마이크론의 공백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메워주길 기대하고, 미 백악관은 일찍부터 이런 요청을 거부하도록 한국 정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으로선 ‘안보냐, 시장이냐’를 두고 미중 양쪽에서 압박을 받는 형국이라 반도체 업체들의 부담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미중 대립의 틈을 타 일본은 반도체 부활의 호기로 삼고 있다. 국가 차원의 반도체 육성과 함께 관련 기업들도 최근 2년 동안 2조 엔(약 19조2,700억 원) 넘게 투자에 나섰다. 중국 위협 속의 대만, 중국과 이웃한 한국의 지정학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

사드 보복을 겪은 한국이 중국 유탄을 맞는 상황이 반복돼선 안 된다. 미국 주도의 탈중국화를 지지하더라도 경제적 타격을 최소화하는, 국익과 실리를 잃지 않는 외교기조가 중요해졌다.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