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기침·가래·호흡곤란이 갑자기 생겼는데…

입력
2023.04.30 13:00
20면
구독

‘폐기종’, 흡연자ㆍ폐렴 환자ㆍ고령인에게서 흔히 발생

평소에 없던 기침·가래·호흡곤란 등이 갑자기 나타나면 병원을 찾아 폐 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평소에 없던 기침·가래·호흡곤란 등이 갑자기 나타나면 병원을 찾아 폐 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중국발 황사와 미세먼지 등으로 뿌연 하늘이 연일 이어지면서 호흡기 건강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담배를 피우는 사람 가운데 평소 나타나지 않았던 기침·가래·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이 갑자기 발생하면 병원을 찾아 폐 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폐기종(pulmonary emphysema)’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폐기종은 정상 폐포벽 등 폐 조직이 파괴되면서 폐포 공간이 확장되고, 폐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한마디로 폐 속에 커다란 공기주머니가 생긴 것이다. 폐기종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과 심혈관 질환, 암 등과 관련 있기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폐에는 폐포가 많이 있어 폐기종이 많이 늘어나기 전에는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60세 전후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할 때가 많다.

이은주 고려대 안암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폐기종은 발생해도 대부분 무증상이고, 점차 가벼운 기침부터 가래,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며 “COPD로 악화하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증상이 심각해진다”고 했다.

폐기종으로 인해 COPD가 발생하면 15㎝ 정도 거리에 있는 촛불도 입으로 불어서 끄기 힘들 정도로 폐 기능이 떨어지고 호흡곤란 증상이 지속된다. 이 밖에 기침, 체중 감소 등이 생기기도 한다.

정상인 폐는 고무풍선처럼 탄력성이 있지만 폐기종 환자 폐는 잔뜩 늘어나 다시 줄어들지 않는다. 따라서 폐로 들어간 공기가 제대로 빠지지 않고 새로운 공기가 들어가지 못해 산소 공급과 이산화탄소 제거가 원활하지 않아 숨이 차게 된다.

폐기종의 가장 큰 원인은 흡연이다. 흡연한 기간이 길수록, 또 흡연량이 많을수록 폐기종이 발병할 위험이 높아진다. 흡연으로 인한 작은 폐 상과 폐 조직 파괴가 폐기종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직ㆍ간접 흡연을 하지 않은 사람에게서도 폐기종이 나타날 수 있다.

가령 오랫동안 담배를 피운 흡연자가 그동안 담배로 인한 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다 어느 순간 가래를 동반한 기침이 자주 나오고 조금만 빨리 걸어도 쉽게 숨이 차는 등의 변화들이 생긴다면 폐기종을 의심할 수 있다.

변민광 강남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폐기종의 정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령인ㆍ장기 흡연자ㆍ장기 폐렴 환자 등에서 많이 발병한다”며 “영ㆍ유아 때 걸린 호흡기 질환으로 폐가 제대로 자라지 못해 생긴 것이라는 보고도 있다”고 했다.

폐기종 진단을 받으면 호흡기내과 전문의가 흉부 X선 검사와 컴퓨터단층촬영(CT) 등으로 폐기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폐활량 검사로 폐 기능 상태 등을 파악한다. COPD로 악화되지 않았다면 별다른 치료를 하지 않고 추적 관찰과 금연 등 생활 습관을 개선해 병이 악화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폐기종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은 아직 없다. 따라서 항생제나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제, 객담 배출제, 산소 요법 등 대증 요법으로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데 그치고 있다.

최후의 수단으로 폐 이식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폐기종 환자는 특히 심장 질환이나 고혈압 약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이런 약 가운데 기도를 좁게 하는 성분이 있어 환자의 호흡곤란을 더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폐기종에 걸리지 않으려면 반드시 금연해야 하는 것은 물론 간접흡연도 피해야 한다. 적절한 수분 공급과 습도를 조절해야 한다.

대기오염이 심한 곳을 피하고 깨끗한 공기를 마시도록 한다. 특히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는 외출을 삼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행성 인플루엔자(독감)나 폐렴을 막기 위해 예방접종을 하는 게 좋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