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 사망률 높은 폐암, 생존율 높이려면…

입력
2023.01.15 17:26
구독

전체 암 중 사망률 1위… 지난해 10만 명당 36.8명 사망
5년 생존율 30%대 불과… 전체 암 평균 생존율 70% 안 돼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폐암은 높은 사망률로 악명 높은 암이다. 실제 국내 폐암 사망자는 2021년 10만 명당 36.8명으로 전체 암 발생 1위다. 이어 간암(20.0명), 대장암(17.5명), 위암(14.1명), 췌장암(13.5명) 등이다. 특히 폐암 남성의 경우 10만 명당 사망자가 54.5명이다.

폐암 진단을 받고 5년 이상 생존할 확률은 30%대로 알려진다. 보통 1기 80%, 2기 60%, 3기 30%, 4기 10% 수준이다. 전체 암의 상대 생존율이 평균 70%가 넘는 것과 비교하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그만큼 치료가 힘들고 생존율이 낮은 암이 폐암이다. 폐암이 유독 두려운 존재로 인식되는 이유다.

그렇다고 폐암을 너무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서종희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폐암 수술을 받은 환자는 완치율이 높은 편이고 수술을 받을 수 있다는 건 그만큼 완치의 희망이 있다는 말”이라며 “수술 후에도 몸이 적응하면서 폐 기능이 향상되고 보완할 수 있다. 6개월에 걸쳐 폐 기능이 10% 정도 회복되는데, 수술 전과 후 꾸준한 운동이 수술하는 환자에게 중요하다”고 했다.

◇폐암 85%는 흡연이 원인… 금연이 최고 예방법

폐암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한다. 폐 자체에 발생하면 ‘원발성 폐암’, 다른 장기에서 생긴 암이 폐로 전이돼 발생한 암은 ‘전이성 폐암’이라고 한다.

또 암세포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비소(非小)세포폐암’과 ‘소(소)세포폐암’으로 구분한다. 폐암의 80~85%는 비소세포폐암이다. 비소세포폐암은 다시 선암, 편평상피세포암, 대세포암 등으로 나뉜다.

폐암의 가장 큰 발병 요인은 흡연이다. 85% 정도는 흡연이 원인으로 꼽힌다. 간접흡연도 포함한다. 직접 흡연은 13배, 장기간 간접 흡연은 1.5배 폐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다. 흡연의 양과 기간도 관련 있다.

다만 여성 폐암 환자의 80% 이상은 담배를 피운 적이 없다. 간접 흡연과 음식 조리 시 발생하는 주방 내 유해 연기, 방사성 유해 물질 노출, 노령화에 따른 암 발병 자체 증가 등이 요인으로 추정된다.

이 밖에 석면ㆍ비소ㆍ크롬 등 위험 요인에 노출된 직업적 요인, 공기 중 발암물질인 벤조피렌ㆍ방사선 물질 등 환경적 요인, 폐암 가족력이 있는 유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해 발생한다.

서종희 교수는 “폐암 발생 위험은 흡연 시작 연령이 낮을수록, 흡연 기간이 길수록, 하루 흡연량이 많을수록 높다”며 “담배를 아예 피우지 않는 것이 가장 좋지만, 흡연자는 지금부터라도 담배를 끊어야 한다”고 했다.

◇폐암 생존율 높이려면 금연해야

폐암을 치료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수술이다. 수술로 암세포를 포함한 폐 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최근에는 수술 후 삶의 질을 고려해 최소 부위만 절제하거나 시간 단축으로 회복 시간을 줄이는 것에 신경을 많이 쓰는 추세다. 특히 폐암 중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은 ‘선암’은 폐의 말초 부위에 생기는데 주로 수술로 치료한다.

다만 3기 이상 폐암은 수술을 하든 비수술적 치료를 하든 치료 효과가 비슷하므로 적극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권하지 않는다. 보통 폐암 1, 2기 병기에는 수술적 치료와 함께 필요하면 항암 치료나 약물 치료를 추가로 진행한다.

더불어 폐암 치료에 있어 중요한 것이 조기 진단이다.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도 가능하다. 폐암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 초기에 발견이 쉽지 않다. 조기에 진단되는 환자는 5~15%에 불과하다. 폐에는 감각 신경이 없어 증상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이다. 증상이 나타나면 이미 폐암이 진행된 경우가 많다.

폐암을 조기 진단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저선량 컴퓨터단층촬영(CT)이다. 저선량 CT는 환자에게 노출되는 방사선량을 6분의 1로 최소화한 장비로 방사선으로 인한 부작용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폐암 검진 권고안에서는 55세 이상 중에서 30년 이상 매일 담배 한 갑 이상을 피운 ‘고위험군’에 우선적으로 매년 저선량 CT를 권고하고 있다.

폐암을 예방하려면 금연이 중요하다. 흡연하는 사람은 지금부터라도 담배를 끊어야 한다. 오염된 공기ㆍ미세 먼지ㆍ석면ㆍ비소 등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폐암 유발 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외출이나 작업 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서종희 교수는 “50대에는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도록 하고 부모님이 폐암을 진단받았다면 30~40대부터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며 “최근에는 흉부 CT 검사가 국가암검진에 추가돼 54~74세 가운데 흡연자는 검사비 부담도 줄었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