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조사 연장 이견… 與 "국민 납득해야" 野 "조건 없이 연장"

입력
2022.12.30 12:00
수정
2022.12.30 13:44
구독

박홍근 "국민의힘, 국조 고의 파행·지연"
주호영 "유족 거친 항의, 바람직하지 않아"

오세훈(맨 왼쪽) 서울시장 등 관련 기관장들이 29일 국회에서 열린 이태원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서울시, 대검, 용산구청 등 기관보고에서 선서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오세훈(맨 왼쪽) 서울시장 등 관련 기관장들이 29일 국회에서 열린 이태원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서울시, 대검, 용산구청 등 기관보고에서 선서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종료를 일주일가량 앞둔 30일 더불어민주당이 국정조사특위 운영기간 연장을 공식 요구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특위 연장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내면서, 당초 여야가 합의했던 ‘세 차례 청문회’를 마무리할 수 있을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조사 2차 업무보고도 파행된 상황에서 남은 일정으로는 3차 청문회와 재발 방지대책 공청회, 결과보고서 채택이 불가능하다”며 “국민의힘은 국정조사의 지연과 파행의 책임이 큰 만큼 조건 없이 기한 연장에 협조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국정조사특위는 11월 24일 출범했지만, 당초 ‘예산안 처리 후 국정조사’ 합의에 따라 지난 21일에야 첫 현장조사에 착수할 수 있었다. 여야는 세 차례 청문회를 진행하겠다고 합의했는데, 증인 채택이 미뤄지면서 당초 계획했던 내년 1월 2일 첫 청문회는 무산됐고 4일과 6일 두 차례만 청문회를 진행할 수 있는 상황이 됐다.

민주당은 전날 국정조사 파행 책임도 국민의힘에 돌렸다. 박 원내대표는 “공부하기 싫은 학생이 짝꿍을 바꿔달라며 등교를 거부하는 꼴”이라며 “고의로 파행시키고 지연시키는 국민의힘의 국정조사 방해 행위가 목불인견”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국정조사 연장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월 7일까지 제대로 된 국정조사를 해보고 왜 기간 연장이 필요한지 국민이 납득해야 논의할 수 있다”며 “애초 여야 합의는 예산 통과 후 국정조사를 하는 것이었고, 국정조사 기간도 설정돼 있었다”고 선을 그었다.

주 원내대표는 참사 희생자 유가족들이 특위 위원들에게 항의를 한 것과 관련해서는 “유족 심정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정제되지 않은 감정 그대로 폭언하고 거칠게 항의하는 것은 국정조사 성공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의힘 소속 위원들이 위원장에게 질서유지를 위한 특단의 조치를 취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안다”며 “그런 문제들이 잘 정리돼 남은 국정조사가 원만히 진행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세인 기자
손영하 기자
임지선 인턴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