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이 정도 지지율에 만족할 텐가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선보이는 칼럼 '메아리'는 <한국일보> 논설위원과 뉴스룸 데스크들의 울림 큰 생각을 담았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회복세다. 11월까지 언론과의 마찰과 외교 관련 여론이 좋지 않으면서 30%대 초반에 머물던 국정지지율이 최근 40%대에 근접하고 있다. 총파업에 대한 대통령의 강경 입장이 물류대란 등 위기를 막아냈고, 법인세 인하와 같은 기업 친화 정책 실행에 속도가 붙으면서 그동안 우왕좌왕하던 보수층의 지지를 되찾고 있다. 대선 때 보수층과 일정 정도의 중도층이 함께 이뤄낸 48%가량의 지지율도 지금 추세라면 머지않아 보인다.
지지율과 더불어 윤석열 대통령의 인상도 개선되는 조짐이 있다. 온라인에서 '윤석열'과 함께 검색되는 관련어의 변화가 그중 하나다. 구글 트렌드(12일 기준)에 따르면 지난 7일 동안 윤 대통령 관련 검색어는 '지지율' '대통령' '정부' 등이 주를 이뤘다. 이는 지지율과 더불어 '탄핵' '김건희' '퇴진' 등의 단어와 함께 검색되던 추이를 보인 지난 30일간 기준 통계와 확연히 차이가 난다. 대통령실의 언론관을 대중에 드러낸 결과를 불렀지만, 필요 이상으로 잦은 미디어 노출을 야기했던 도어스테핑 종료는 대통령의 부정적 이미지 양산에 제동을 걸었다는 진단이 나온다. 관저 이사가 마무리되고, 덕분에 대통령의 관여가 효과적으로 정부·여당에 스며들게 이끄는 '관저 정치'가 시동을 걸면서 국민이 원하는 바가 빠르게 정책으로 반영되는 메커니즘 활성화도 한몫했을 것이다.
하지만 대통령실과 정부·여당은 지루한 장마 가운데 살짝 갠 듯한 지금의 여론 동향을 놓고 만족스러운 표정을 지을 때가 아니다. 자칫하면 언제라도 11월 이전의 최악 지지 국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아래 두 가지 면에서 그렇다.
먼저, 지난 대선 당시 '윤 후보'의 인기몰이에 그늘을 드리웠던 윤석열 핵심 관계자(윤핵관)로 불리는 이들의 목소리가 나날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이 현안을 놓고 여당 지도부나 대통령실의 방향성에 혼선을 주거나 국민이 보기에 통합 이미지를 흐트러뜨린다면 윤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주기 시작한 중도 보수층이 고개를 저을 수 있다. 국민의힘이 국정조사에서 합의한 걸 놓고 장제원 박수영 의원은 딴죽을 걸었고, 권성동 의원은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출범을 대놓고 힐난했다. 내년 2말3초로 예상되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하나둘 윤심 잡기 경쟁에 몰입하는 모양새가 뚜렷해진다. 여당 내에선 친윤과 비윤의 세력 갈등의 각이 날카로워지고 있다. 대통령이 어느 쪽으로든 휘둘리는 인상을 비친다면 지금의 지지율은 위태로울 수 있다.
둘째, 이태원 참사 책임 선상에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놓여 있지 않다는 메시지를 대통령실과 여당이 끊임없이 국민들에게 발산한다는 점이다. 국민의힘 당론대로 이 장관은 '법적으로' 질 책임이 없을 수 있다. 국정조사가 이뤄지기 전, 그를 자리에서 밀어낼 당위가 부족하다는 논리는 충분하다. 그러나 세상의 판결이 모두 법전에 따라 이뤄지는 건 아니다. 점점 국민적 공감을 얻어가는 참사 유가족협의회의 최우선 요구는 일관되게 이 장관 사퇴다. '자기 사람' 감싸느라 사회적 참사 가운데 최초로 주무 장관의 책임을 묻지 않는 대통령으로 여론에 각인되는 일을 자초할 이유가 있는가. 주요 지지층으로 꼽히는 50대 지지율이 참사 직후 전주 대비 무려 6.2%포인트나 빠졌다는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이 노동시장과 건강보험 개혁을 설파한 13일, 대통령실은 '120대 국정과제' 현황판을 배경으로 한 대통령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속 대통령이 오른손에 쥔 연필은 뾰족하고, 눈길은 명료하다. 일하는 대통령, 목표가 뚜렷한 리더의 모습이다. 그의 시선 끝에 언제나 국민이 있기를, 그래야 지지 기반이 더 단단해짐을 늘 생각하기 바란다. 40%대에서 맴도는 지지율 정도로 만족하는 대통령이 아니라면 말이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