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이태원 상처, 죄책감에 시달리는 사람들..."함께 대안 찾자"는 공감의 말이 필요

입력
2022.11.26 14:00
구독

피해자·유족·목격자 혼자 오래 두지 말고
조언 아닌 공감을…상투적 표현 피해야
"그럴 수 있어, 우리의 잘못" 'I 메시지' 사용을

지난 2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은 시민들이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은 시민들이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현장에 있었던 20대 여성 A씨는 "잘 들어왔니" 한마디에 무너져 내렸다. 158명의 청춘이 채 피어 보지도 못하고 희생된 그날 밤, 이태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A씨는 야간 근무였다. 사고가 발생한 뒤 많은 인파에 옴짝달싹 못 하다 참혹한 현장을 목격했다. 온몸이 굳어 첫 차가 오기 전까지 일하는 가게에서 한 발짝도 벗어날 수 없었다.

겨우 집에 돌아와 현관문을 연 순간 부모님은 평소와 다름없이 그렇게 안부 인사를 건넸다. 힘겹게 붙잡았던 A씨의 마음에는 비수처럼 꽂혔다. 한 사람도 구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을 가까스로 억누르고 있었는데 말이다. 감정이 폭발해 "어떻게 잘 왔겠어! 전화 한 통도 안 하고"라며 오열했다.

부모님들은 그제야 뉴스를 보고 이태원에서 벌어진 사고를 알게 됐다. 이후 심리치료 과정에서 "내가 아이를 더 고통스럽게 한 건 아닌지, 너무 미안해 꼭 끌어안았다. 어떻게 하면 좋겠냐"고 토로했다.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어느덧 한 달 가까이 됐다. 그러나 피해자들과 목격자, 간접적으로 사고를 접한 뒤 이들의 아픔은 여전하다. 잊히기는커녕 더욱 고통을 호소한다.

이들의 심리치료를 맡고 있는 전문가들은 사회적 고통에서 벗어나려면 모두가 조심하며 오랫동안 서로를 보살펴야 한다고 조언한다.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사회의 시선도 이들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전문가 3인의 인터뷰는 대한적십자사 및 국가트라우마센터와 연계해 심리치료를 지원하는 정신간호사회의 도움을 받았다.

죄책감에 숨기는 사람 많다는 점 인지해야

대한적십자사 소속 활동가가 서울 용산구 이태원 사고 재난 심리지원 마음 쉼 카페에서 사고로 고통을 호소하는 피해자를 상담하고 있다. 대한적십자사 제공

대한적십자사 소속 활동가가 서울 용산구 이태원 사고 재난 심리지원 마음 쉼 카페에서 사고로 고통을 호소하는 피해자를 상담하고 있다. 대한적십자사 제공

전문가들의 말을 종합하면 이들이 고립감과 죄책감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주변에 피해자나 유족이 있다면 혼자 남겨졌다는 마음이 들지 않게 살펴야 한다. 혼자 있는 시간이 너무 길면 자칫 과음이나 약물 과다복용 같은 부정적 방식으로 풀 수 있기 때문이다. 참사 얘기를 할 필요는 없다. 평소처럼 "밥 먹을까?" 물으며 '함께 있다'는 믿음을 주는 게 좋다.

피해자들과 목격자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건 '그 순간 아무도 살리지 못했다' '희생자가 있어 내가 산 건가' 같은 죄책감이다. 이때 이들에게는 "결코 너의 잘못이 아니다" "누구든 겪을 수 있는 사고였다" 등 마음의 짐을 덜어주는 말을 건네야 한다.

무심코 내뱉을 수 있는 핼러윈 축제 참여에 대한 낙인·혐오 표현은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한다. 자신이 사고 현장에 있었다는 걸 주변에 숨기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기 때문이다. 현장에 있었던 B씨는 친구들 모임에서 "그날 이태원에 간 사람들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며 다른 사람의 얘기인 양 물었다. 정말 잘못한 건지 반응을 알고 싶어서였다. 그런데 이를 비난한 사람들의 얘길 듣고 우울증세를 앓게 됐다.

당사자가 참사 공감 원할 때 얘기 꺼내야

지난 16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 인근에 추모 메시지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지난 16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 인근에 추모 메시지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이런 경우에는 네 잘못이 아닌 우리 모두의 잘못이라는 '아이(I·나) 메시지'로 답해 줘야 한다. "청년들이 놀 문화를 만들지 못한 우리 사회의 문제다" "간 사람들의 잘못이 아니다.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등 당사자들이 죄책감을 느끼지 않게 해줘야 한다.

"곧 좋아진다" "노력하면 극복할 수 있다" "네 심정을 알 것 같다" 등 상투적인 위로의 말은 피해야 한다. 대신 "네 마음이 나아질 방법에 대해 같이 찾아보자"고 대안을 제시하면 당사자들은 큰 힘을 얻을 수 있다.

위로하고 싶다며 먼저 이태원 참사 얘기를 꺼내는 건 좋지 않다. 오히려 감정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사자가 마음의 준비가 돼 얘기하고 싶어 할 경우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큰 위로가 된다. 이때 "지금은 슬퍼하는 게 당연한 시기"라며 감정에 공감해 주는 것도 좋다. 다만 섣부른 조언은 하지 말아야 한다.

*도움 주신 분: 박애란 정신간호사회 회장, 윤미경 경기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부센터장, 오세진 서울시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활동가(대한적십자)

류호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