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러시아 언론인들, 해외로 망명해 '푸틴 가짜뉴스'와 싸운다

입력
2022.11.23 19:00
수정
2022.11.23 19:23
구독

푸틴, 우크라 침공 이후 독립 언론사 폐쇄
유럽으로 본사 옮겨 푸틴 비판 보도 이어가
러시아 국민들도 VPN 통해 시청하며 호응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5월 9일 수도 모스크바에서 열린 2차 세계대전 전승 기념행사에서 열린 군 퍼레이드를 보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5월 9일 수도 모스크바에서 열린 2차 세계대전 전승 기념행사에서 열린 군 퍼레이드를 보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 언론인들이 해외로 망명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생산하는 ‘가짜뉴스’와 맞서 싸우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언론정부에 비판적인 언론인들의 입을 틀어막았다. 언론인들을 외국 스파이인 '해외 요원'으로 지정해 자금을 차단하고 방송ㆍ출판을 금지했다.

언론인들은 굴하지 않았다. 해외에 독립 언론사를 설립해 러시아군의 전쟁범죄, 러시아군이 밀리고 있는 전세 등을 낱낱이 보도함으로써 반전 여론을 끌어 올리고 있다고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22일(현지시간) 전했다.

우크라 전쟁 이후 러시아 언론인 500명 이상 망명

2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에서 러시아군의 T-80 전차를 노획한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러시아 진영을 향해 포를 쏘고 있다. 뉴시스

2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에서 러시아군의 T-80 전차를 노획한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러시아 진영을 향해 포를 쏘고 있다. 뉴시스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2월 전쟁이 시작된 이후 500명 이상의 러시아 언론인들이 해외로 망명했다고 전했다. 인지도가 높았던 독립 방송매체 ‘TV 레인’은 전쟁 발발 8일 만에 폐쇄됐고, 500만 명의 청취자를 보유한 라디오매체 ‘에코 오브 모스크바’도 비슷한 시기에 문을 닫았다. 최대 독립 신문사인 ‘노바야 가제타’는 사업 면허 취소를 당했다. 푸틴 대통령이 민심의 동요와 분열을 막기 위해 가장 먼저 언론을 통제한 데 따른 것이다.

러시아를 떠난 언론사들은 독일과 네덜란드, 리투아니아 등으로 본거지를 옮긴 뒤 취재와 보도로 푸틴 대통령과 싸웠다. 우크라이나 부차에서 러시아군이 민간인을 학살한 사실, 러시아 민간군사기업인 바그너그룹이 살인으로 투옥된 죄수들을 모병한 사실 등을 잇따라 밝혀냈다. 푸틴 대통령이 9월 예비군 동원령을 내린 이후 크렘린궁이 30만 명을 징병했다고 밝힌 것과 달리 징집자가 50만 명을 넘겼다는 것을 밝혀내기도 했다.

인터넷 언론사 ‘메두자’의 이반 콜로파코브 편집장은 “우리의 목표는 어떻게든 살아남아서 러시아인에게 올바른 뉴스를 전달하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독립언론 TV 레인, 유튜브 조회수 매달 2,000만 회

러시아 독립 방송매체인 'TV 레인'의 티콘 지야드코 편집장이 지난 9월 8일 라트비아 리가에 마련한 본사 건물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러시아 독립 방송매체인 'TV 레인'의 티콘 지야드코 편집장이 지난 9월 8일 라트비아 리가에 마련한 본사 건물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언론 탄압에서 자유로워진 언론사들의 거침없는 보도에 뉴스 소비자들은 호응했다. 라트비아에 본사를 마련한 TV 레인은 유튜브에서 매달 2,0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고, 독일 베를린으로 옮긴 에코 오브 모스크바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뉴스와 토크쇼를 다시 생중계하기 시작했다.

러시아 정부가 이 언론사들에 대한 접속을 차단하자 온라인 검열망을 우회하는 가상 사설망(VPN) 이용률이 급증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전쟁 전 러시아의 VPN 이용률은 전 세계 국가 중 40위 정도였으나, 지금은 1위”라며 “러시아인의 절반 이상이 VPN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언론사들을 가장 괴롭히는 건 재정난이다. 광고 수입이 주요 수익원이지만, 푸틴 대통령의 눈 밖에 날 것을 우려하는 기업들이 몸을 사리기 때문이다. 러시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도 언론사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유튜브는 러시아에서 발생하는 콘텐츠의 수익 창출을 금지했고, 금융제재 때문에 러시아인들에게 구독료를 받을 길도 막혔다. 이코노미스트는 “외국 자선단체들에서 보조금을 받으면서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김현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